아래 인용은 기업 차원의 문제 제기이지만 국가 차원의 제도에도 비슷하게 말할 수 있다. 자본주의 다양성론에서의 개혁 문제와의 관련을 생각해 보라.

일부 경영자들은 이러한 적합성 혹은 연계관계를 강조하는 주장에 대해 약간의 우려를표명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의 논리는 다음과 같다. 즉, 만일 한 조직의 경영관리 양식들이서로간에 강한 내적 적합성을 갖고 있다면, 이처럼 강한 적합성과 상호연결성이 오히려 필요한 변화를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닌가? 경영관리 양식들을 서로 적합하게 연계시켰을 때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은, 해당 기업의 전략이나 혹은 전략적 의도를 실행해 나가고자 할 때 보다 강한 추진력과 보다 큰 효과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만일 그 전략 자체가 잘못 설정되었거나, 혹은 경쟁환경의 변화로 말미암아 기존 전략을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면 어떻게 될까? 그러한 경우에는 조직 내 다양한 제도와 관리 국면들이 내부적으로서로 긴밀히 엇물려 있다는 것이 오히려 필요한 변화를 더 어렵게 만들 수도 있지 않겠는가? - P1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