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년 전일지라도도제 훈련을 정상화하려는 민간단체의 노력은 지금 봐도 유효하다. 문제는 오늘날 자발적 민간단체는 없고 정부와 그 대리자들은 행정절차 이상을 보여주지 못하는 것이다. 소수의 헌신적인 교사를 제외하고 말이다.

많은 자발적인 박애주의 단체들이 영국의 도제 훈련과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려고 노력했다(특히 Knox 1980: 9장을 볼 것). 그들의 노력은 당시의 사람들이 청소년 훈련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이해했던 방식을 보여주며, 독일의 제도와 구분되는 중요한 차이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P203
특히 유태인 단체와 기독교 단체는 지역사회에서 흔런업체와 청소년 사이의 연계를 구축하는 사업에 참여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1868년에 유태인후원협회산업위원회 Industrial Committee of the Tearts Board of Guardians가 설립되면서 시작되었고, 1886년에는 유사한 단체인동런던기독아동도제기금 East London Apprenticing Fund for Christian Children의 설립으로 이어졌다(Jevons 1908: 455-6). - P204
이 단체들은 지역사회 내에서 청소년들이 훈련을 시작해서 성공적으로 마치도록 하는 것을 활동 목표로 삼았다. 이들은 많은 서비스를 제공했는데,
1) 기업과 도제를 연결시켜 주고, 2) 훈련생에게 적절한 업체를 안내해주고, 또 기업이 적합한 도제를 찾도록 지원했다. 3) 또한 종종 이 단체들이 나서서 도제에게 대출을 해주어 기업에 특별 경비를- 혹은 수업료 - 지불하기도 했다. 이러한 조치는 기업이 보통의 도-제가 - 일반 도제 혹은 ‘직종‘ 도제가 — 받을 수 있는 것보다 더욱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훈련을 자기 기업의 도제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명시적으로 약속하면 제공되었다. 4) 이 단체들은 종종 도제에게 ‘후견인‘ 을 배정하기도 했다. 후견인은 주기적으로 작업장을 방문해 도제의 성장을 감독하고 고용주가 협정상의 의무를 다하는가를 확인했다 (Jevons1908: 455-6; Knox 1980: 299-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