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전쟁을 거친 후에 선조가 권력을 유지한 것과 한국전쟁 후에 김일성과 이승만 모두 권력을 유지한 것이 공통된 결과이다.
특히 북한에서 김일성이 권력을 유지한 것은 생각할수록 미스테리다. 북한 역사에 큰 관심이 없었는데 50년대 북한 정치사를 읽어봐야겠다. 중국이 집단지도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것과 북한이 혈통 중심의 체제로 유지되는 것의 기원이 이 시기에 있지 않을까 싶다.

북쪽에서는 김일성이 전쟁을 수행하면서 저지른 치명적인 실책에도 불구하고 권좌로 복귀했다. 소련은 김일성을 보호했고, 전투 대부분을 담당했던 중국은 김일성을 대신할 만한 그들만의 후보가 없었다.
남쪽에서도 미국의 여러 의구심에도 불구하고 이승만은 살아남았다. 신임 미국 대통령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Dwight D. Eisenhower에 따르면 이승만에 대한 미국의 정책은 "우리는 여전히 너를 사랑한다, 이 개자식아"로 요약되었다. - P150
몇몇 중국인은 한국전쟁이 실제로는 중국에 이득이 되는 전쟁이 아니었다고 생각했다. 한국전쟁은 중국의 이익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젊은 조선인 지도자가 스탈린의 격려 아래 벌인 일이었다. 그리고 많은 중국인 지도자의 시선에서 볼 때, 한반도를 방어하기 위한 푸닥거리를 하고 비용을 치른 것은 바로 중국이었다.
몇몇 중국인이 전쟁의 결과에 대해 우려했지만, 마오쩌둥은 그들과는 의견을 달리했다. 마오쩌둥에게 한국전쟁은 중국의 개조라는 더 큰 사업의 일부였다. 지난 100년간 중국은 모든 전쟁에서 패배했지만, 이제 중국은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에 맞서 교착 상태를 이끌어냈다. - P1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