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탈린으로부터 한국전쟁의 재가를 받은 북한이 왜 중국의 군사적 지원을 직접적으로 받았는지 의문이었다. 냉전사의 대가인 저자의 설명 덕분에 궁금했던 것에 대한 갈증이 일부 풀렸다. 막 내전을 끝내고 허약했던 중국이 미국과 맞서 싸우는 결정을 내리는 것이 쉽지 않았을 것이다. 마오쩌뚱 입장에서 미국의 북진은 임진전쟁에서 일본의 북진이었고 당시 명이 조선을 도왔듯이 신생중국이 북조선을 도왔을 것이다. 정치와 역사가 교차하는 순간이다.




 막 건국된 신중국은 세계를 상대로 싸울 수는 없었다. 일부 중국공산당 지도자들은 중국의 재건에 미칠 수 있는 피해를 이유로 한반도 개입에 반대했다. 그러나 다른 이들은 중국 국경에 외국 군대가 주둔하게 되면, 이는 신중국 정권에 실존적인 위협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한반도는 중국으로의 관문이었다. 국공내전 당시 중국국민당을 지원했던 미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적이었고, 한반도에서 공산주의자가 패배한다면 이를 이용하여 일로, 그리고 국민당 잔존 세력이 공산 중국을 압박할 것이 분명했다.

1950년 당시 중국공산당의 명실상부한 지도자였던 마오쩌둥에게 이념과 역사, 안보는 모두 중요한 문제였다. 마오쩌둥은 다른 동료들보다 사회주의 진영 내의 이념적 유대에 역점을 두었다. 중국공산당은 조선(북한)의 동지들을 도울 의무가 있었다. 게다가 조선의 동지들은 과거에 중국공산당을 도왔고 조선과 중국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는 나라였다. - P147

10월 1일 스탈린은 마오쩌둥에게 적어도 5, 6개 사단을 38선을 향해이동시켜달라고 개인적으로 요청하기도 했다. 마오쩌둥은 스탈린의 요청이 공산주의라는 대의를 위해 자신과 중국공산당이 어디까지 헌신할스 있는지를 시험하기 위한 것임을 알아차렸다. 그런데도 중국 지도부는명령을 내리는 것을 망설였다. 10월 2일 정치국 회의가 열렸고 여기에서는 개입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더 컸다. 마오쩌둥이 마침내 개입을 결정하기까지 정치국, 그리고 소련과 거의 2주간의 논의가 필요했다. 중국공산당이 ‘중국인민지원군中國人民志願軍이라 이름 붙인 중국군이 10월 19일부터 압록강을 건너 한반도로 들어왔다.
- P1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