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을 조직하는 역할은 중개자라고 할 수 있는 기업가가 수행한다. 즉, 어떤 기업가가 먼저 기업을 세운 다음, 그 기업을 소유자에게 파는 것이다. 그 기업가는 소유자 집단을 조직하는 역할을 한다.
- P78
예를 들어 상장회사는 처음에는 종종 비상장회사로 조직되고, 이후 투자은행의 중개하에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판매한다. 아파트나 협동조합 주택의 경우도 비슷하다. 개발자 한 사람이 건물을 짓고 나서 여러 명에게 각각의 호실을 판매해 공동 소유가 되게 한다. 5~6장에서 논하게 될 미국 서해안 북서부 주의 사례도 마찬가지다. 노동자소유기업인 수많은 합판협동조합의 경우, 우선은 개인 창립자들이 있었고 그들이 이를 소유할 노동자를 규합했다.
- P79
(투자자소유기업의 대리인 비용이) 다른 소유 형태의 기업(소비자 소유, 노동자 소유, 공급자 소유 등)보다 비효율적일정도로 그리 많지는 않다는 점이다.
그것이 가능한 이유 중 하나는 소유가 집중되지 않은 기업의 대리인 비용을 적절한 선에서 유지하는 메커니즘이 있다는 점이다.13 그런 메커니즘중 중요한 것으로 적대적 인수를 들 수 있다. 경영 감독을 할 동기가 있고, 힘과 지식도 지닌 매수자가 나타나 기업을 인수할 수 있다는 두려움이 있어서, 기업 경영자는 주주의 통제와 감독 여부에 상관없이 기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동기가 생긴다. - P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