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라오스에 대체 뭐가 있는데요?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이영미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의 열렬한 팬이다. 내가 알기론 우리나라에서 번역된 소설책은 다 읽었을 거고 내가 소장한 그의 작품은 모두 침대옆에 딱 붙어 있는 나의 개인용 책장 맨 위칸에 일렬로 줄맞춰 전시되어 있다. 게다가 반복해서 읽은 유일한 소설이 모두 그의 작품이다. 그만큼 나의 편애를 듬뿍 받고 있는데......


그의 수필집은 좀처럼 재미가 붙지 않는다. 그의 책은 모든지 다 읽어 봐야겠다는 일념으로 (대체로 나의 독서 습관이 그러해서) 소설을 섭렵한 후 수필집으로 넘어 갔다. 아, 이런...... 글 잘 쓰는 작가는 모든지 다 잘 쓰는 줄 알았는데 뭔가 찜찜했다. 그 수필집 이름이 뭐였는지 기억은 안나지만 이게 대체로 일상에 관해 가볍게 쓴 책이었던 것 같은데 영 어색한거다. 서술식으로 써내려가다가 뜬금없이 독자를 향해 직접 화법을 구사하는 문장. 일본 작가들은 원래 수필을 이렇게 쓰나 부터 시작해서 수필이라고 막 쓰는건가 싶은 생각까지 혼자서 고민 많았다. 그러다 내린 결론은 그의 수필은 나와 안 맞는다는거. 이렇게 생각하니 어찌나 마음이 홀가분 하던지.


<1Q84>의 어마어마한 돌풍과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의 신통치 않은 반응 이후 이렇다 할 작품 발표가 없어서 심심하던 차에 그의 여행 에세이가 나왔다고 해서(이것도 이미 작년의 일이지만) 눈길을 주던 참이었다. 사서 읽기 까지는 좀 망설여져서 선뜻 결심을 못 하고 있었는데 도서관에 갔다가 하늘색 말끔한 표지에 저자의 이름이 선명하게 쓰인 이 책을 발견했다. 여행을 많이 다니는 작가라는 정평이 나 있어 새삼 기대를 하고 훑어 보았다. 여전히 그의 소설만큼은 아니지만 그리고 여전히 난데없이 독자를 향해 직접적인 대화를 시도하지만 여행지가 신선하고 호기심이 생기는 곳이어서 읽을만 했다. 딱 여끼까지.


그나저나 여름이면 그의 새로운 작품이 번역되어 나온다는데 아직도 서너 달은 기다려야 할테니 은근히 조바심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렇다.

대한민국에 사는 모두에겐 행복할 권리이자 자유가 있다.


그러나 슬프게도...... 집단주의에 침몰되어 살아오느라 그것이 나의 권리인지도 자유인지도 모르고 살았다. 개인보다는 집단이 먼저인 사회. 그 안에서 살아 남으려면 낄때와 빠질때가 언젠지 눈치가 빨라야 한다. 우리를 위해 나 하나쯤이야 어떻게 되든 불평할 줄 몰라야 한다. 그러니 개인의 행복따위 운운할 처지가 아니었다.


그러다 언제부터인지 사람들은 집단에서 개인을 분리시키는 시도를 하더니 우리보다 나의 존재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인간의 마음을 다독여주려는 심리학적인 접근법은 언제나 있었지만 유독 개인심리학 한쪽으로 편향되는 현상은 요 근래 몇년간 집중되는 것 같다. 아마도 개인의 존재를 부각시키는 관심이 이러한 현상을 이끌었는지도 모르겠다.


이유야 어찌되었건 긍정적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집단주의의 역기능이 점점 더 심각해 지는데 언제까지나 집단을 위해 개인을 희생할 수는 없으니까.


우리 모두 용기를 내자. 노래 가사를 빌어 말하자면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태어난 존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정이란 내가 현재 하는 경험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를 알려 주는 가장 일차적이고 원초적인 방법이다. 지금 이 경험이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를 찰나의 순간에 알게 해 주고, 이 경험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야 하는지 도망가야 하는지를 거의 반사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게 한다. (22쪽)'


첫 장에서 감정 조절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마지막 장에서 감정 조절 방법을 제시한다.

중간에는 몇 장에 걸쳐 감정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하게 뇌의 구조와 역할을 설명하고 경험적 심리적 작용과 상태에 의한 정서적 반응 및 결과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그렇다면 구체적인 감정 조절 방법이란 무엇일까.

책에서 제시한 방법은 여섯가지다.


행복 호르몬 이용하기, 상상으로 몸과 마음 변화 시키기, 몸의 상태를 바꾸어 감정 조절 돕기, 잘 놀기, 잘 자기, 잘 싸우기. 내 식으로 정리하면 '발생된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 들여 솔직하게 인지하고 몸과 마음의 훈련을 통해 꾸밈없이 이해하여 자연스럽게 처리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겠다.


저자는 마지막에 감정 조절의 필수 조건으로 '안전'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데 이것은 물리적인 측면에서의 안전 뿐 아니라 정신적인 측면에서의 안전까지 포함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즉 안전하면 몸과 마음이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감정 조절이 수월해지며 따라서 타인을 열린 마음으로 대하고 그에 대해 호기심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자, 감정 조절의 상태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그리고 왜 감정 조절이 필요한지 알았으니 저자의 가르침대로 연습해 볼 차례다. 나의 내부로부터 발현된 감정의 정체, 그것부터 낱낱이 파헤쳐 볼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qualia 2017-04-04 08: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정이란 내가 현재 하는 경험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를 알려 주는 가장 일차적이고 원초적인 방법이다. 지금 이 경험이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를 찰나의 순간에 알게 해 주고, 이 경험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야 하는지 도망가야 하는지를 거의 반사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게 한다. (22쪽)‘

→ 캬~ 하고 무릎을 탁 쳤네요. 읽는 순간 마음 속에서요. ^^ 정말 핵심 중의 핵심, 알맹이 중의 알맹이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핵심이나 알맹이는 평소에 까마득히 잊고 지내지요. 일상에서 감정이 폭발할 때 저걸 자각하는 경우는 드문 것 같아요. 아무튼 ‘오늘의 깨달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책읽는사라 2017-04-05 21:08   좋아요 0 | URL
저두 이 부분에서 ‘아, 저게 감정이라는거구나.‘ 하고 감탄했더랬죠.
그나저나 깨달음은 제가 드린건 아닌데 이렇게 써주시니 몸둘봐를 모르겠네요...^^
 















목차를 넘기자마자 나타난 프롤로그의 제목이 '인간 혐오'여서 깜짝 놀랐다.

그 스스로 사람들을 뜨겁게 좋아하는 편이 아니다라고 고백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혐오라 하면 이건 또 다른 맥락이 아닌가 싶어서 말이다.

그러나 책을 읽어가다 보면 그가 주장하는 것처럼 인간을 혐오할 정도의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그렇다고 하기에는 그가 쓴 글들이 인간에 대한 관심과 관찰없이는 쓸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살아가면서 분명히 내 일이 아닌데도 가슴이 덜컥 내려앉는 순간들이 있다. 피가 거꾸로 솟는 순간들이 있다. 나도 모르게 눈물이 주책없이 줄줄 흐르는 순간들이 있다. (11쪽)'


이러한 울림을 갖는 이에게 누가 감히 인간 혐오자라는 딱지를 붙일 수 있을까.

굳이 분류하자면 조금 까칠한 인간 정도라고 할 수 있겠다 싶다.

물론 나는 저자를 인간적으로 알지 못하므로 전적으로 글로 표현한 것을 증거로 삼자면 말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4-01 21: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쌤통의 심리학 - 타인의 고통을 즐기는 은밀한 본성에 관하여
리처드 H. 스미스 지음, 이영아 옮김 / 현암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다 읽은지는 며칠 되었다.

리뷰를 쓰려고 몇 번이나 컴퓨터 앞에 앉았다가 쓰고 지우기를 몇 번이나 하였다.
너무 두서없는 글쓰기가 된 것 같아 어떡할까 고민하다가 그래도 끝까지 써보기로 한다.

대략적인 책의 내용은 인간의 마음 속 깊은 곳에 있는 타인에 대한 질투심,
그리고 곤경에 처한 타인으로부터 느끼는 색다른 통쾌함에 관한 이야기다.

사회심리학자인 저자는 각종 연구와 실험 결과를 근거로
실제로 그리고 생각보다 자주 느끼는 그 오묘한 감정에 대해 합리적인 위안을 제공한다.
저자의 본래 의도 그것이 아니었겠지만 
불행한 타인의 처지를 이용해서 심리적인 안정을 얻는 일이 종종 있는 내게
이 책은 일말의 죄책감을 해소할 수 있는 객관적인 정보처였다.

말하자면 나만 그런게 아니라는 것,
누구나 갖는 보편적인 감정이라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결론 부분에서 저자는 우리에게 질문을 하나 던져준다.
그러한 감정이 보편적이고 일정 부분 타당한 것이라 해도
그것을 어떻게 다룰 것이며 어떤 방향으로 성숙시킬 것인가.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심슨시리즈의 '호머와 네드'에 관한 에피소드에서처럼
부정적인 부분을 극복하고 화합하는 것이 훨씬 아름답지 않은지
은근슬쩍 유도한다.

물론이다.
이왕이면 다같이 행복한 것이 좋지 않겠나.
하지만 얽히고 설킨 사회적 관계가 난무하는 세상에서
때로는 질투하기도 하고 때로는 통쾌해 하기도 하면서
스스로에게 숨통을 트일 기회를 주는 것도 필요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