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만 보는 바보 진경문고 6
안소영 지음 / 보림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만 보는 바보>는 조선후기 실학자 이덕무와 그의 벗들, 스승에 대한 이야기다. 우리가 역사를 공부할 때 맹목적으로 시대와 사건, 인물 등을 달달 외울 것이 아니라 소설을 읽듯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다면 훨씬 능률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이 책에는 조선 후기 실학자들이 대거 등장한다. 이덕무보다 더 유명한 그의 벗 박제가를 비롯하여 그의 스승인 담헌 홍대용과 연암 박지원의 이야기는 세월의 벽을 허물어 마치 그 시대에 와 있는 듯 착각을 불러일으키게도 했다.

처음에 등장하는 이덕무의 책사랑에 관한 이야기들은 아름다운 문장과 함께 읽는 이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못 보던 책을 처음 보기라도 하면 하루 종일 얼굴에서 웃음이 떠나지 않았던 이덕무는 온종일 방에 들어앉아 혼자 실없이 웃거나 끙끙대고 외마디 소리를 지르기도 하며 책만 들여다보는 날이 많았다고 한다. 그러니 사람들이 그를 두고 ‘간서치’라고 놀리는 것도 무리는 아니었을 터, 이는 ‘책만 보는 바보’라는 뜻이라 한다.

이 방의 문고리를 잡을 때마다 나는 늘 가슴이 두근거린다. 방에 들어서는 순간 등을 보이며 가지런히 꽂혀 있는 책들이 모두 한꺼번에 나를 향해 눈길을 돌리는 것만 같다. 눈과 눈이 마주치는, 책 속에 담긴 누군가의 마음과 내 마음이 마주치는 설렘. 오래된 책들에 스며있는 은은한 묵향은 내 마음을 편안하게 어루만져 주고, 보풀이 인 낡은 책장들은 내 손길을 기다리고 있는 듯하다. 아니, 스스로 나에게 다가오기도 한다. 울적한 내 마음을 옛사람들의 노래로 위로해 주기도 하고, 낯선 섬나라의 파도 소리로 마음을 들뜨게 하기도 한다.
- 본문 중에서.


이처럼 책을 좋아한 이덕무였지만 먹을거리가 없어 책을 내다 팔아야 하는 슬픔을 겪기도 했다. 밥을 먹는 것보다 굶주리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만큼 곤궁한 생활은 세월이 흘러도 나아지지 않았다. 그는 서자의 집안, 반쪽 양반의 핏줄이었기에 관직에 나가지도 못했고, 그렇다고 땀 흘려 농사를 짓거나 장사를 할 수도 없었다. 다만 기약 없이 이런 가난을 대물림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이덕무는 열심히 책을 읽었다. 어쩌면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오로지 그것뿐이었을 지 모르지만 좌절하지 않고 정진한다. 그러던 어느 날 이덕무는 그의 벗들과 중국을 여행할 기회를 갖게 된다. 돌아와 그는 비록 정규직은 아니었지만 규장각 검서관으로 일을 하게 되어 생활이 조금씩 나아지게 되었다.

책을 좋아하는 그에게는 더없이 좋은 일이었다. 서고에 쌓인 책을 정리하고 새로운 책을 만들고 교정하는 일 등으로 바빠 책을 읽을 시간이 나지 않았지만 호젓한 밤 시간을 내어 그는 열심히 책을 읽었다.

누군가에게 마음을 기울이기 시작하면 그는 비로소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특별한 모습으로 다가오게 된다. 좀 더 마음을 기울이면 그가 살아온 이야기, 그의 가슴속에 담은 생각들을 알게 된다. 더욱더 마음을 기울이면, 굳이 말을 하지 않아도 서로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벗이 되리라. 박제가와 나처럼. 우리와 다른 벗들처럼.
- 본문 중에서.


생활이 곤궁했던 시절부터 친했던 벗들 박제가 유득공 백동수 이서구와 스승인 박지원과 홍대용과의 따뜻했던 이야기들은 시대를 초월하여 우리의 가슴 속에 스며들었다. 나이 차이가 많이 나더라도 벗이라 칭하며 서로를 이끌어주고 아끼는 친구의 모습과 스승을 존경하고 제자를 아끼는 마음들이 보기 좋았다.

‘누군가에게, 더구나 스승에게 소중하고 가치 있는 존재라는 것이 고맙고도 감격스러웠다’는 이덕무는 스승들의 편지를 펼쳐 볼 때마다 가슴이 뻐근해왔다고 읊조리기도 했다. 소설 같기도 하고 수필 같기도 한 이야기들은 우리에게 어떤 깨달음을 주고 있는 걸까.

밤이라 개천 물소리는 더욱 크게 들려왔다. 하천의 바닥을 깊게 파내는 공사를 끝낸 지가 얼마 안 되어 물의 흐름은 한결 시원하고 소리도 좋았다. 낮에는 아직도 여름 기운이 많이 남아 있는데, 밤이 되니 온통 가을이었다. 얼굴에 스치는 바람은 계절을 담아 서늘하고, 높은 음계까지 올라가는 풀벌레 소리는 가을 하늘처럼 맑고 아름다웠다. 이야기를 주고받다가 시원스레 터져 나오는 우리의 웃음소리가 하늘까지 닿아, 별빛들도 함께 쟁그랑거렸다.
- 본문 중에서.


<책만 보는 바보>는 아름다운 문장으로 가득하다. 책에 소개된 바와 같이 ‘시간을 나눈다는 것은, 반드시 얼굴을 마주 대하고 있는 사람들끼리만 할 수 있는 일’은 아닐 것이다.

책을 통해 우리는 옛사람들로부터 그들의 시간을 나누어 받는다.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겪어 보지 못한 아득한 옛이야기들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 것일까. 시대를 넘나드는 올곧은 선비의 정신은 우리가 배워야할 큰 덕목이 될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