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은 반역인가 - 우리 번역 문화에 대한 체험적 보고서
박상익 지음 / 푸른역사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번역은 반역인가>는 번역의 역사부터 출판계의 동향, 대학과 책 소비에 대한 이야기까지 번역과 책을 둘러싼 많은 이야기들을 들려주고 있다. 나는 다만 번역의 세계가 궁금했을 뿐인데 덤으로 얻은 것이 훨씬 더 많았다. 기대했던 것보다 많은 수확을 올린 농부의 마음이 아마도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

책을 읽고 가장 먼저 든 생각은 '내 돈을 내고 책을 사서 봐야한다'는 것이었다. 책은 화장품 같은 것과는 달리 소비되어 없어지는 게 아니니 빌려볼 수 있지만, 언제 어느 때 다시 그 책이 필요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늘 손을 뻗으면 닿을 곳에 두어야 한다.

또한 문화후진국의 오명을 벗기 위해서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일이라고 저자는 강조하고 있었다. 책 한 권을 세상에 내놓았는데 제작비도 건지지 못하는 경우 저자는 물론이고 출판사는 얼마나 상처를 입을 것인지 생각만 해도 안쓰러운 일이다. 인문 출판의 경우에는 '돈을 벌자는 게 아니라 돈을 쓰는 행위'라 할 만큼 힘들다고 한다.

'우리는 독자적으로 서양 문화를 받아들여 우리 언어 체계 속에 녹여내지 못하고 일본들이 노력해 한자어로 번역한 서양 문화를 손쉽게 빌려 쓰는 길을 걸었다'며 저자는 우리 번역 역사에 대한 안타까움을 토로하고 있다. 일본은 일찍이 번역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서양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 번역에 매진한 것에 비해 우리가 번역에 기울인 노력은 너무 미미했다는 것이다.

그로부터 많은 세월이 흘렀지만 우리의 번역 문화는 아직도 갈 길이 멀어 보인다. 번역을 맡은 일부 교수들은 대학원생에게 번역을 하청 맡기고 대학원생들은 돌아가며 번역을 하고 검토도 마치지 않은 채 출판 편집자에게 넘겨지는 일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러면 편집자는 매끄럽지 않은 번역을 밤을 새워가며 매끄럽게 만들지만 1차적으로 제대로 되지 않은 번역을 아무리 매끄럽게 한들 독자들에게 의미 전달이 제대로 될 것인가. 교수 연구 실적에 번역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도 교수들이 번역을 꺼리는 이유가 될 수 있겠지만 지식인으로서 마땅히 지양되어야 할 일이다.

번역자의 조건

아무나 번역을 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이 있어야 한다. 참다운 번역은 원작의 가치에 대한 이해에서 생겨난 존경과 감동을 전제로 한다. 그렇지 못한 번역은 지루하고 고통스럽고 의미 없는 노동일뿐이다. - 본문 중에서

해당 언어에 능숙하다고 해서 번역가의 자질이 충분하다고 말할 수는 없나 보다. 언어가 녹아있는 사회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없이는 오역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오역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면 해당 분야에 전문 지식을 쌓는 일은 불가피해 보인다. 또한 모국어 구사 능력이 뛰어나야 한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이윤기나 안정효 같은 소설가들이 번역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것이 그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번역이란 결국 '문자의 옮김'이 아니라 '문화'를 번역하는 것이기에 그만큼 어려운 작업이 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척박한 번역 시장에서 살아남기란 참으로 힘든 일이다. 일 년에 몇 권을 번역해야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지 않을 것인가. 일 년에 많은 번역서를 만들어낸다고 하면 한 권에 기울어지는 노력에 의문이 갈 것이고 한권에만 매달리기에 그 대가는 너무 미미하고. 가장 좋은 것은 번역료가 높이 책정되어 책 한 권에 혼신의 힘을 기울일 수 있는 풍토가 마련되는 것이 아닐까.

책에 관한 한 과소비는 무죄

책을 통해 얻는 기쁨이 너무 달콤한 것이어서 노령이 겁나기는커녕 정년이 기다려진다고 말하는 일본 조치대학 교수 와타나베 쇼이치는 그의 저서 <지적 생활의 방법>에서 지적 생활을 위해서는 자기 돈을 주고 책을 조금씩 사들여 자기 주위에 책을 쌓아가는 것이 지적 생활의 첫걸음이라고 주장한다.

'책에 관한 한 과소비는 무죄'라고 말하는 저자는 이 책을 쓰기 위해 백 권이 넘는 책을 구입했다고 한다. 저자는 무리를 해서라도 책은 사고 보는 사람에 속하고 책값만은 아끼지 않으려 한 까닭에 오 천권이 넘는 책을 소장하고 있다고 한다. 집을 넓혀 이사할 수밖에 없는 남모를 이유가 계속 쌓여가는 책에 있다는 저자의 말은 책을 빌려보는 나 같은 사람에게 큰 울림을 안겨 주기도 했다.

대학이 자기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교육하고 있는 데 비해 출판사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출판사 사장은 대학 총장에 필적하는 중요성을 지녔다'는 저자의 말에 공감한다. 출판사가 떠맡은 사회적 책임이 대학 못지않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출판사의 역할에 대해서도 강조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번역가를 꿈꾸는 젊은 인문학도들에게 부치는 글도 인상적이었는데, 후배들에게 꿈을 잃지 말라는 선배의 조언으로 따뜻함이 전해졌다. '번역 사업은 막연히 시장의 논리에만 맡겨두어서는 결단코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저자의 말처럼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했다.

<번역은 반역인가>를 통해 우리는 번역가가 아니면 알기 어려운 번역의 세계에 눈을 뜨게 될 것이다. 이미 조금은 알고 있던 이야기에 살을 더할 수도 있을 것이고 처음 듣는 이야기는 한 장 한 장을 되넘겨 보게 만들 것이다. 이런 책들이 모여 세상을 조금씩 변화시킬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