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옥에서, 고고학자처럼 - 이명원의 한국문학 탐사
이명원 지음 / 새움 / 2005년 10월
평점 :
품절


어떤 사람의 글을 읽고 술술 잘 읽힌다면 그것은 글쓴이와 문장호흡이 일치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내게 이명원의 책이 그랬다. <연옥에서 고고학자처럼>은 작가와 작품에 대한 평론집이다. 나는 '평론집'이라고 하면 으레 건조하고 딱딱해서 재미가 없었다. 그러나 <연옥에서 고고학자처럼>은 예외였다. 평소 관심을 가지고 있던 작가들과 주목하지 못했던 작가들을 만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책을 펼쳤다. 

공선옥 - 하야우중 : 슬픔이 거기 있었다

하야우중. 장마비가 내리는 여름밤의 한복판에서, 나는 공선옥의 소설이 자꾸만 '슬픔의 공명통'처럼 느껴졌다. 제 안의 슬픔을 공명시킴으로써, 타인의 슬픔까지를 공명시키는 그런 울림통 말이다. 그리고 인간이 역사 속에서 겪어 나가야 하는 슬픔과 고통의 그 끈질김과 장엄함 앞에서, 글쓰기란 오히려 사소하고 부차적인 일에 불과할지도 모른다는 회한이 이상하게도 내 가슴을 치곤 하는 것이었다. - 본문 중에서

‘내 아버지는 평생 동안 많은 양의 술을 드셨고, 그것은 고스란히 어머니의 눈물이 되었다.’서문에서 만날 수 있는 첫 구절이다. 이 문장 하나로 책을 주저 없이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한 독자도 있을지 모른다. 명명할 수 없는 슬픔이 배어있는 문장이다. 저자가 어린 시절부터 아릿하게 간직해온 슬픔을 한 문장에 농축시켜 놓은 것에 다름 아닐 것이다.

공선옥은 모든 예술은 그곳에 슬픔이 있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슬프지 않은 사람의 작품은 예술이 아니고, 명실상부하게 슬픈 사람이 명실상부하게 슬픈 작품을 탄생시키고 그런 작품이야말로 진정한 예술’이라고.

공선옥의 소설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은 최하층민의 등장이다. 그것은 빈곤이나 가난에 주목한다는 의미다. 실제로 구로동에서 4년 간 일했던 이력이 있는 공선옥은 '풍경으로서의 가난'이 아니라 '체험으로서의 가난'을 독자들에게 각인시켜주고 싶었던 것이다.

나혜석 - 나혜석과 근대이행기의 여성적 자의식

당시는 봉건시대로 나혜석의 신 사고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시대였다. 시대를 앞서가는 지식인은 그래서 고독한 것이다. 사랑했던 연인을 잃고서 그 추억을 감당하지 못해 청혼하는 김우영을 6년 동안 기다리게 한 나혜석은 조건부로 청혼을 받아들인다. 일생동안 지금처럼 자신을 사랑해주고, 그림 그리는 일을 방해하지 말 것이며, 시어머니와 전실 딸과 따로 살게 해달라는 것이었다. 그렇게 결혼을 했지만, 결혼생활은 평탄하지 못했다. 한 사람의 아내로서가 아니라 예술가 자신으로서의 삶을 추구했기 때문이었다.

… 나혜석의 문학사적 의의는 근대이행기의 여성 자의식의 그 복잡한 상처를, 현실에서의 자기 희생을 통한 과격한 실천을 온몸으로 밀고 나감으로써 극복하고자 했던, 정신적 밀도의 치열함에서 찾아야 할 듯하다. 그 치열성 덕분인지, 나혜석은 오늘날 여성해방의 선구적인 지식인으로 기억되고 있는 것이며, 여전히 짜디짜게 문학사의 대하를 향해 흐르고 있는 것이다. - 본문 중에서

신교육을 받았고 몇 년에 걸쳐 더 넓은 세상을 여행했기에 나혜석은 우리나라 여성이 얼마나 불평등하게 살고 있는지 체감하게 되었다. 스스로 타계하려고 노력했으나 그녀를 기다리고 있는 건 그녀의 신사고를 따라갈 수 없는 개화되지 못한 사회였다. 불운하게 생을 마감하게 되었지만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우리 문학사 속에서 그는 면면히 흐르고 있다. 

<연옥에서 고고학자처럼>을 통해 독자들은 시대의 흐름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일제 시대부터 4.19 혁명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그 궤적을 뚫어볼 수 있게끔 다양한 작가들이 소개되어 있다. 문학을 통해 시대를 읽고, 작가를 통해 당시의 현실을 인식하게 된다. 작가와 작품에 대한 해설이 곁들여진 이 책은 종합선물세트와도 같다. 부드러운 평론집을 기다린 독자들이 있다면 갈증을 해소하기에 충분할 것이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