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버지의 미소 - 김소진 유작산문집
김소진 지음 / 솔출판사 / 1998년 4월
평점 :
절판
지난 여름 후배의 집에 갔을 때 처음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소박한 책장에 꽂혀있던 이 책은 후배에게는 매우 소중한 책인 듯했다. 그 날 후배에게서 나는 '김소진'이라는 이름을 처음 듣게 되었다.
나보다 독서량이 현저히 많은 후배였으니 내가 알지 못하는 숱한 인물들의 이름을 아는 것이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겠지만, 나는 같은 과 학생으로서 필히 알아야 할 인물을 모르는 것 같아 난감했던 기억이 난다.
그의 어떤 작품보다 나는 <아버지의 미소>를 먼저 읽어보고 싶었다. 소설보다는 산문집에서 그 사람을 더 가까이 느낄 수 있을 것 같은 막연한 기대 때문이었다. 절판된 책이어서 서점에서 구입할 수는 없었고, 시간을 내어 집 부근에 있는 도서관을 찾았다.
정해진 날짜에 맞추어 반납하는 일이 번거로워 비디오든 책이든 빌려볼 수 없던 나는 이 날 이후로 생각을 고쳐먹게 되었다.
학교 도서관에서 느꼈던 책 냄새를 이곳에서도 만날 수 있었던 것이다. 햇볕이 잘 드는 내부의 따뜻한 공기와 조우하는 것도 반가웠고, 감당할 수없이 많은 책을 보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아졌던 것이다. 또한 두어 정류장 정도 걸어야 하는 곳에 도서관이 있으니, 운동도 되고 일석삼조였다.
이 책은 단행본으로 출판된 그의 소설들을 제외하고 그가 남긴 거의 모든 장르의 글들을 모아놓은 책이었다. 처음에는 수필 같은 글들을 모아놓은 책이겠거니 하고 읽어나갔는데, 그 뒤에는 습작한 소설과 시, 책에 대한 글, 인물에 대한 글, 대담글이 이어져있었다.
책을 읽기 전, 제목이 왜 <아버지의 미소>였을까, 의아했던 나는 이내 해답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의 내용 가운데 가장 감동적이었던 부분이 바로 여러 가지 소제목 중 하나인 <아버지의 미소>였기 때문이었다.
아버지의 존재를 부정해왔던 자신의 아픔을 면밀히 풀어내는 작가가 그저 경이로울 따름이었다. 연거푸 3번에 걸쳐 눈물과 콧물을 풀어내고야 비로소 마음을 가다듬은 나는 아픔의 강도야 다르겠지만 누구나 가지고 있을 법한 슬픈 가족사에 다시금 마음이 먹먹해졌다.
김소진 어머니 표현에 따르자면, 아버지는 "민들레 씨앗처럼 곤궁하게 바람처럼 날아온 사람"이었고, 김소진의 표현에 따르자면, "사랑과 미움, 또는 자부심과 콤플렉스라는 두 가지 상반된 정서가 한데 뒤섞인 모순된 감정을 만들어준 장본인"이었다.
또 다르게는 "한없는 그리움의 대상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천 길 나락의 끝에 입을 벌리고 있는 깜깜한 지옥이었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그의 아버지는 북에 부모와 처, 자식을 남겨두고 홀로 내려와 평생을 가슴에 외로움이라는 단어를 묻고 지내신 분이었다. 이렇듯 분단의 아픔은 곳곳에 남겨져 그 아들 세대에까지 치유할 수 없는 상처를 아로새기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게 아버지를 부정했지만, 결국 "법을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는 권세 있는 사람보다, 법 없이도 살 수 있었던 평범한 아버지"를 존경하게 된 아들 김소진은 매우 안타깝게도 요절하고 만다. 그를 그리워하는 많은 이들만을 남겨둔 채로….
책의 마지막 부분 지인들과 함께 한 사진 가운데, 지면으로만 만나왔던 한겨레신문 구본권 기자를 보고서는 반가운 마음이 오롯이 들기도 했다. 많은 말이 필요 없는 책, <아버지의 미소>는 소장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한 책이지만, 그럴 수 없기에 더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