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젊은 베르테르의 기쁨 - 알랭 드 보통의 유쾌한 철학 에세이
알랭 드 보통 지음, 정명진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신문에서 이 책의 광고를 보았을 때, 나도 모르게 웃음이 새어 나왔다. 어떤 책인지 알지 못한 채, 책제목만 보고 웃음을 지은 건 무엇 때문이었을까? 작위적인 판단이지만, 슬픔도 때에 따라선 기쁨의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는 긍정 때문이었다. 또한 소설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를 재미있게 읽은 나로서는 알랭 드 보통의 저서에 무작정 끌리지 않을 수 없었다.
<젊은 베르테르의 기쁨>은 철학에세이다. 딱딱하고 어려운 철학에 좀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다리 역할을 해주고 있는 이 책은 소크라테스, 에피쿠로스, 세네카, 몽테뉴, 쇼펜하우어, 니체를 이야기하며 우리에게 어떤 위로를 안겨주려 하고 있다. 위로가 되었는지 아닌지는 책을 끝까지 읽어보고 독자가 판단하겠지만, 쇼펜하우어와 니체 편에 실린 글들이 나에게는 깊은 여운을 안겨 주었다.
모든 삶은 다 힘겹다. 그리고 그들 중 몇 명을 완성된 삶으로 승화시키는 것은 고통을 받아들이는 태도에 달려있다. 모든 고통은 뭔가 잘못되어가고 있음을 말해주는 희미한 신호다. 그런 고통도 말하는 사람의 정신력과 현명함의 정도에 따라 좋은 결과를 낳기도 하고 나쁜 결과를 낳기도 한다.
고민은 정신적 공황 상태를 야기할 수도 있지만 문제의 본질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불공평에 대한 인식은 살인으로 이어질 수도 있지만, 경제 이론 분야에 선구적인 업적을 낳게 할 수도 있다. 부러움 또한 비통한 마음을 부르기도 하지만 라이벌과의 경쟁심을 자극해 걸작을 탄생하게도 한다. -본문 중에서
이상은 <곤경에 대한 위안 - 니체 편>에 실린 글의 일부다. 도덕 교과서처럼 정답인 말이 열거되어 있는 듯 한데, 실제 생활에서 우리가 어떤 고민에 부딪칠 때마다 우리는 이미 정답을 알고 있으면서도 방황한다. 역경에 처할 때마다 위기를 기회로 삼을 수 있어야 하고, 그렇게 시행착오를 반복하면서 우리는 성장할 것이다.
사랑은 상상 가능한 가장 커다란 행복을 우리에게 약속하지 않고는 우리로 하여금 종을 번식하도록 유혹할 수 없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거부를 당한데 따르는 상처가 너무 깊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는다는 것은 다시 말하면 사랑을 받아들이는데 수반되는 숭고함을 무시하고 있다는 증거다. 그런 심한 고통이 뭔가 이상하다고 되뇌이며 고통은 더욱 복잡하게 악화시켜서는 곤란하다. 그런 일을 당하고도 만약에 충격을 받지 않는다면 비정상일 것이다. -본문 중에서
이상은 <상심한 마음을 위한 위안 - 쇼펜하우어 편>에 실린 글이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거부를 당했다면, 단지 인연이 아니었다고만 생각하면 된다. 저자는 '둘의 결합이 이뤄지지 않았다면 그것은 그 사람과 인연을 맺어서는 균형 잡힌 아이를 낳을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와 맥락을 같이 하는 이야기다.
사랑은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대방과 마음이 같지 않을 경우에는 확실한 '거부'가 중요하다. 막연한 기대를 갖지 않게 하는 것이 서로에게 좋고, 거부를 당했을 때도 상대나 스스로를 원망하기보다는 무엇보다 생각의 다름을 인정하고, 어디에선가 다른 인연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 낙관해보자. 당장의 슬픔을 추스르는 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자기계발이 가장 나을 듯 하다.
몽테뉴는 첫 장부터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은 스스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소중한 존재"라고 역설하고 있는데, 알랭 드 보통의 유쾌한 철학 에세이 <젋은 베르테르의 기쁨>은 호젓한 철학의 오솔길로 우리를 안내한다. 스스로를 돌아보며 사색을 즐길 시간을 제공해 주는 쉽고, 재미있는 철학서의 등장이 마냥 반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