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귀걸이를 한 소녀 - [초특가판] 진주귀걸이를 한 소녀 1
피터 웨버 감독, 스칼렛 요한슨 외 출연 / 기타 (DVD)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이루지 못한 사랑이 더 아름답다? 정말 그럴까? 소설을 읽고 영화를 봤다. 2004년이었던가. 소설을 읽을 그 즈음, 그림에 꽂혀있을 때라 더욱 환상적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솔직히 영화는 소설만큼의 여운을 안겨주지는 못했지만, 스칼렛 요한슨과 남자 주인공(이름이 갑자기 생각나지 않는다.) <브리짓 존스의 일기>에서 너무 이미지 좋았던 그가 등장하기에.. 충분히 만족했다. 푸줏간 청년도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에 나왔던 그가 아닌가. 휴~ 배우만으로도 빛나는 영화다!

아름다운 그림을 보는 일은 좋은 음악을 듣거나, 멋진 책을 읽는 것만큼이나 행복한 일이다. 빈센트 반 고흐 이후 그림을 좋아하게 되었다. 이런저런 화가들과 조우하다 요하네스 베르메르도 만나게 되었다. 그는 17세기 북구 유럽화단을 대표하는 네델란드 사실주의 화가다.

그의 작품 가운데 왼쪽 어깨를 살짝 틀어 커다란 눈으로 화가를 응시하는 소녀의 초상화, <진주 귀고리 소녀>의 표정은 뭐라고 형용할 수 없을 만큼 신비롭다. 작가에 의해 재창조된 그림 속의 소녀 그리트는 언뜻 보아도 하녀처럼은 보이지 않는다. 아버지가 사고로 앞을 보지 못하게 되면서 가계에 보탬이 되어야 했으므로 그리트는 화가 베르메르의 집에 하녀로 가게된다. 베르메르는 미술 거래상이며, 여관 경영도 맡았기에 그림에만 전념하는 다른 화가들과는 달리 한 작품을 완성하는데 꽤 오랜 시간이 걸리는 편이었다.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사람들과 지내는 것이, 또 하녀가 해야하는 일이 버겁기만 한 그리트는 시간이 지날수록 자신의 집보다 이곳에 더 익숙해지게 된다. 나중에 그리트는 베르메르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부호의 요청으로 모델이 되는데, 이때 완성한 그림이 바로 <진주 귀고리 소녀>이다. 이 일로 그리트는 이 집에서 나오게 된다. 베르메르의 아내 카타리나는 하녀 신분으로 자신의 귀고리를 하고 모델이 된 그리트를 용납할 수 없었던 것이다.

아니 단지 그 귀고리 때문이 아니라 남편과 하녀와의 관계에 대해 자신할 수 없었던 것이다. 표면적으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지만, 내면적으로 이들은 사랑하고 있었고, 그의 아내가 진주 귀고리라는 것에 자신의 마음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이리라.

그리트는 푸줏간 청년 피터와 결혼식을 올렸고, 10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러던 어느 날, 베르메르의 사망 소식을 듣고 카타리나를 만나게 되는 그리트는 베르메르의 유언에 따라 진주 귀고리를 건네 받게 된다. 진주 귀고리는 사랑의 상징이 된 셈이다. 눈빛으로만 나눈 사랑이었다. 오로지 모델과 화가의 위치에서만 서로의 눈을 깊이 바라볼 수 있었으므로….

주인과 하녀라는 신분적 금기, 또한 결혼한 남자와의 사랑이라는 이유로 사랑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이루지 못한 사랑이기에 더 애틋하고, 그래서 더 아름답게 각인되는 듯 같다. 삼자의 입장에선 그러하지만 당사자들은 어떨까? 남의 이야기라고 쉽게 말할 것이 못되긴 하지만.. 정말 그럴지도 모른다. 이루지 못해 더 아름답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