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낙엽을 타고'를 보았다.
영화는 이 감독의 이전 영화들과 마찬가지로 대략 인물들은 예전(80년대?) 스타일인 가운데 언제인지 시간을 특정하기 어렵다. 전체적인 느낌을 먼저 쓰자면 현실의 구차함에도 불구하고 단순함이나 단정함에서 오는 아름다움과 힘이 느껴졌다.
핀란드, 하면 생각나는 것 중에 노키아도 있는데 영화는 스마트 폰의 지배하에 있지 않다. 영화 속에서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침공을 당한 뉴스가 구식 라디오에서 여러 차례 나와 지금 현재 시간대인 척하지만 이 세계는 감독이 임의로 설정한 시간으로 봐야하겠다. 주인공 두 사람은 나중에 보니 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락처를 종이에 적어서 주고받는다.(영화 후반에 주소도 종이로 전달) 종이는 주머니에서 흘러나와 날아가고 연락을 못하게 되네. 만난지 얼마 안 되었으나 호감을 가진 두 사람의 마음이 이것저것 따지지 않고 숙성하게 되는데는 이런 종류의 장치가 필요하겠지. 연락 단절이라는 사건. 그 사이 '시간' 말이다.
이 글 제목이 왜 저러냐면 요즘 읽고 있는 한병철의 [시간의 향기]와 영화가 묘하게 연결된 지점이 있다고 생각해서다. 아직 다 읽지는 못했으나 영화를 본 후 어째서 연관짓게 되었는지 책의 내용을 조금만 소개하면
- 과거에는 완결된 '그림'이나 진보를 향한 '선'의 형태였던 시간이 지금은 어지럽게 날아다니는 '점'들로 흩어져 있는 형태가 되었다, 연결은 끊어져 있고 점들 사이엔 권태를 불러오는 공허만이 존재한다, 지금의 시간에는 적절한 때라든가 완결이라든가의 성격은 없고 사람들은 이 사건 저 사건, 이 정보 저 정보, 이 이미지 저 이미지 사이를 황급히 이동하며 삶은 어지럽게 날아다니고, 시간은 불시에 나타났다 불시에 사라지므로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한 것도 없고 다만 새로운 것으로 대체되는 업데이트만이 거듭되고 이전의 것은 덮어쓰기가 되며 잊혀진다.
그대로 옮긴 것은 아닌데 이런 내용들이 적혀 있었다. 한병철의 글에 수긍하게 되는 것이 인터넷 뉴스를 보다보면 그런 증상이 참으로 진하게 느껴진다. 엄청 중요한 사건 같은데 하루이틀이 지나면 또 다른 센세이셔널한 사건이나 발표 같은 것이 등장해서 며칠 안에 이전 것은 잊혀지고, 그것을 권력자들이 이용하기도 하고...세상이 그렇게 굴러가고 있으니 말이다. 그거 어떻게 되었지, 궁금하면 애써 검색해야만 하고 그나마 끈기 있게 다루는 후속 기사도 드물다.
이 영화에서 시간 특정이 어렵다고 했는데 뉴스에 현재 사건이 나오지만 두 사람의 관계 형성은 매우 아날로그적인, 디지털 이전의 구식으로 표현되어 있다. 감독은 아마도 인간의 관계에서만은, 서로를 향하는 마음에 필요한 시간의 문턱을 지나야 함을 말하고 있는 거 같다. 전화번호를 적은 종이를 잃어버렸으니 구두가 닳도록 찾아다녀야 하겠고, 술에 맺힌 게 많은 여자와 술꾼인 남자가 만나려면 각자 견디는 시간이자 공감을 형성할 시간이 필요한 것은 말할 것도 없을 것이다. 늘상 폰을 들여다 보며, 사방에 흩어져 순간으로 존재하는 문자, 인스타, 트윗과 숏폼 등의 대체 가능한 시간에 휩쓸려 있다면 이 관계는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영화에서 두 번 등장하는 다른 사람의 옷을 이어받아 입는 장면도 시간은 연결되어 있음을 떠올리게 했고, 또한 마지막 장면은 영화 '모던 타임즈'의 시간을 이어받는 것 같은 결말을 보여 준다. 하지만 '모던 타임즈'의 이야기를 반복하는 것만은 아닌 것이 이 영화의 결말엔 인간이(에게) 곁을 내 주는 동물 친구까지 끼워넣어 놨다는 점이다.
안사의 친구가 안사에게 오늘따라 왜 말이 없냐?라고 하는 순간 웃음이 났다. 아마 의도적으로 넣은 대사가 아닐까 짐작하는데, 이 감독님 영화의 인물들은 여전히 정말 말수가 적고, 전철로 출퇴근 중에도 폰은 어디 있는지 그냥 생각에 잠겨 앉아 있다.
카우리스마키 감독이 무슨 새로운 시도를 한 것도 아니고 이야기도 소박한데 이 영화를 다들 좋아하는 것을 보면 이런 영화, 이런 이야기를 그리워한 모양이라고 생각했다.
한병철 저자의 지금 읽는 책은 앞 부분에 조금 헤맸지만 점점 빠져드는 중. 이번 책까지만 읽으려고 했는데 아마 또 만날 거 같다. 책이 얇은데도 금방 읽게 되진 않고 좀 감탄하고 있다. 어찌 이런 생각들을 빼곡하게 한단 말이지? 생각 전문가들인 철학자들은 새삼 대단하다 싶다. 철학 관련 책을 한병철 저서로 정말 오랜만에 읽게 되어서인지 어디선가 이런 생각의 집들을 짓고 있는 이들이 지금도, 여전히 있다는 것을 헤아리자 숙연함마저 생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105/pimg_797611163414393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