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톨스토이인가요, 도스토옙스키인가요? 라고 선호를 굳이 묻는다면 나는 도스토옙스키 쪽이라 생각해왔다.

나보코프는 문학이 자신을 흥미롭게 하는 관점이 되는, 탁월한 수많은 예술가의 창조물이라는 기준에서 보았을 때 도스토옙스키는 위대한 작가가 아니고 유머가 있긴 하나 진부함과 황량함을 지닌 평범한 작가라고 쓰고 있다. 그래서 도스토옙스키 언급을 할라치면 난처함과 곤란함을 느낀다고.

[나보코프의 러시아 문학 강의]에 그럼에도 도스토옙스키가 다루어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나는 좋아하지도 않는 주제를 가르칠 만큼 학술적인 교수가 못 된다. 나는 도스토옙스키의 정체를 폭로하길 간절히 원한다. 책을 많이 읽지 않은 일반 독자들은 이 가치 체계가 혼란스러울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교수로서의 나보코프는 명쾌하다. 확신에 차서 자신의 문학관과 취향을 옹호하고 말투는 신랄하다. 

나보코프는 네 번 - 열두 살, 열아홉 살, 스물여덟 살, 그리고 이 강의 즈음에 [죄와 벌]을 읽었다고 한다. 열두 살 때는 황홀했으나 열아홉 살 때부터 의심을 가졌고 최근에 결함을 제대로 깨달았다고. 

내 경우 [죄와 벌]을 고2 때 푹 빠져서 읽고 20대 후반에 다시 읽었다. 수십 년이 흘렀으니 지금 다시 읽으면 느낌이 다를 것이다. 다를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러나 뭔가 조금 억울한 감정이 생겼다. 나보코프가 지적하는 도스토옙스키의 결점들과 [죄와 벌]의 결함에 수긍이 가니 더 억울한 것 같다.

다음과 같은 지적들. 묘사는 극히 부족하고 히스테리, 간질 발작, 정신이상의 인물들 천지에, 살아 있는 인간이라기 보다는 관념의 꼭두각시 역할을 하는 인물들, 미학적 성과는 부족한 역겨운 범죄에 대한 집착과 개연성 결핍의 감상주의적 전개...... 특히 [죄와 벌]에서 살인자와 매춘부가 함께 영원의 책(성경)을 읽는다는 문장은 최악이라고 했다. 추잡한 살인자와 불운한 소녀 매춘부라는, 차원이 다른 둘을 성경과 함께 트리오로 엮은 넌센스라는 것이다.

'책을 많이 읽지 않은 일반 독자'로서 이런 지적들 자체가 혼란스러운 것은 아니다. 이전에 다른 곳에서 읽었던 지적도 있고. 

내가 희미하게 느끼는 억울함이랄까 반발의 마음은 좀 가혹하다는 생각 때문인 거 같다. 

나보코프는 사람들이 이 글의 첫 줄에 있는 질문들을 나누는 것 자체가 불쾌했던 게 아닌가 짐작해 보았다. 톨스토이의 우아함, 거대한 이야기를 전개하면서 생생하게 이를 떠받치는 세밀한 사건과 묘사, 생생한 인물들의 설득력 겸비한 감동적인 행보. 이 위대한 작가를 도스토옙스키와 같이 위치지어 언급하곤 하는 것이 보기 싫었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다. 그럴 수는 있을 것이다. 나보코프가 도스토옙스키를 조목조목 비판한 결점을 읽어 보면.

하나마나한 소리지만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는 아주 다른 작가이다. 여러 차이가 있지만 균형과 불균형이라는 대비를 떠올려 보았다. 도스토옙스키는 작가 자신이 불균형한 삶의 여정을 거쳤고 그가 만든 작품 역시 불균형한 사람들이 불균형한 사건을 만들어 나가는 이야기이다. 자기가 잘 아는 이들을 데리고 자기가 잘 못하는 묘사를 생략하면서 자기가 잘 아는 납득이 어려운 인간사를 펼쳐놨다는 생각을 한다. 도스토옙스키가 작품 성격에 비해 과평가가 된 부분은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나는 이 울퉁불퉁하고 기이하고 균형과 우아함을 찾기 어려운, 어떻게 보면 왜곡된 눈으로 본 인간 이야기에 이입하는 사람(독자)들의 에너지를 긍정한다.  

나보코프에게는 그 불균형이 예술적, 미학적으로 정제되지 않은 하수로만 보였겠지만 조화와 균형과 세련미로 우리를 고양시키는 훌륭한 작품의 한편에는 그런 것을 잘 하기 싫은, 잘 하려고 해도 잘 할 수 없는 부류의 작가의 훌륭한 작품도 있으며 독자도 마찬가지로 그러한 작품에 애정을 더욱 느끼는 부류가 있다. 나의 경우 도스토옙스키의 작품에서 보이는 감상적 수습이나 병으로 퉁치거나 하는 즐기기 어려운 장치들에 껄끄러움을 느낌에도 불구하고 그의 소설에 담긴 기이함과 묘사 없이 길게 이어지는 대화들과 이 집 저 집을 오가며 거리를 방황하는 인물들에 지금까지도 애정을 갖고 있다. 그것은 균형감과 안정을 해치는 독서 경험이었고 어떤 장면에서는 가슴을 쥐어짜는 잊을 수 없는 독서 경험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것은 문학에 대한 매혹으로 이끈 경험이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