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을 잡아라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19
솔 벨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동네 / 2022년 9월
평점 :
이 소설의 주인공 윌헬름은 집을 나왔습니다. 소설에선 은근슬쩍 언급하고 지나가는데 다른 여자와 살기 위해서입니다. 자의반 타의반으로 직장도 나오게 되었으니 마흔 중반에 인생이 위태로워졌습니다. 윌헬름은 여기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국면마다 장고 끝에 악수를 두고 경고의 종이 울림에도 충동을 따르는 야무지지 못한 선택을 함으로써 인생의 기반을 자꾸 허물어 뜨렸고 지금은 추락 직전입니다. 그러함을 스스로도 잘 알고 있습니다.
아버지는 의사로 평생 일해 얻은 명예와 돈을 기반하여 홀로 주거용 호텔에서 은퇴자 생활을 누리고 있는데 윌헬름은 그 호텔에 방을 얻어 한 지붕 아래 지내고 있어요. 사면초가의 상황에서 아버지를 은연중에 의지하는 마음에서 그리로 들어간 것 같습니다만, 아버지는 지금까지 윌헬름의 시리즈로 이어진 잘못된 선택에 더이상 관여하지 않으려고 마음먹은 상태입니다.
윌헬름의 아내는 이혼해 주지 않고 두 자식 부양의 의무는 해야 하는데 돈 나올 곳은 없고 호텔 숙박비도 밀리기 시작합니다. 이런 상황은 소설이 시작되면 이미 주인공의 조건으로 주어져 있습니다. 소설은 윌헬름의 잔이 마침내 넘치게 되는 마지막 한 방울의 물이 떨어지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독자는 그 꽉 찬 잔의 위태로움, 안절부절함을 지켜 보며 과연 이 인물은 동정의 여지가 있는지, 여기에 이르는 동안 무엇이 잘못 되었는지 주인공과 함께 생각하게 됩니다. 마지막 한 방울의 물은 떨어질 것이고 이 이야기가 행복하게 마무리될 거라고는 기대하기 어려워요. 그래서 읽는 동안 좀 답답했지만 다행히 분량이 짧은 소설입니다.
윌헬름을 제외한 인물들은 노년에 접어들거나 완연한 노년의 연령입니다. 그리고 절대적으로 '돈'이 필요한 것은 윌헬름이지만 돈은 늙은이들에게 있습니다. 젊을 때는 다르게 살겠다고 이름까지 바꾸었으나 중년의 주인공은 아직도 그들의 손아귀에 있습니다. 자신의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청소년 같습니다. 이 상황을 넘겨 보고자 지푸라기를 잡으려 애쓰는 중에 과거와 현재의 문제 그리고 아버지에 대한 소망과 원망과 이해의 사고 과정이 주인공의 머리 속에 끊임없이 펼쳐집니다. 주인공에게서 정체성을 찾아 방황하는 청소년의 모습을 떠올리는데 더하여 머리 속에 명멸하듯 이어지는 생각들의 전개를 읽어나가자니 샐린저 작가의 '호밀밭의 파수꾼'이 생각나기도 합니다.
윌헬름의 자취를 보면 어리석기도 하고 책임감도, 자신에 대한 엄격함도 부족하지만 주어진 틀을 벗어나서 약간 다른 길을 가 보고자 시도하는 기질이 있었습니다. 그러한, 아버지와는 다른 어느 정도의 분방함과 꿈꾸는 기질을 소유했다는 것이 이렇게나 궁지에 몰리게 되는 결과를 감당해야 하는 것인가 생각하게도 되네요. 영악하지 못한 분방함과 도모가 자본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어떤 결과로 되돌아 오는지, 주어진 길을 벗어나지 않기 위해 발밑을 살피며 앞만 보고 가야 했었는가 같은 생각들.
사건 진행에서 오는 재미나 흥미진진함을 가진 소설은 아닌데 큰 사건 없이 인물의 상황과 심리를 촘촘하게 엮어나가는 능력이 훌륭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