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플리 4 : 리플리를 따라간 소년 ㅣ 리플리 4
퍼트리샤 하이스미스 지음, 홍성영 옮김 / 그책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의무감으로 몇 자 쓴다.
밑에 리뷰를 쓰신 분들은 아무 지적을 안 하다니 놀랍다. 실수가 이렇게 많이 눈에 띄는 책은 처음인 것 같다. 먼저 읽은 지하의 리플리, 리플리의 게임도 몇 군데 있었는데 방금 읽기를 마친 '리플리 4 : 리플리를 따라간 소년'은 정도가 좀 심했다. 어이가 없어서 발견될 때 생각나면 표시를 했다. 그냥 넘어간 것도 있어서 이보다 더 많지만 몇 군데 예를 들면,
가장 빈번한 실수는 인물 이름 바꿔치기. p66 :7 '앙리'를 '톰'으로, p221 :밑에서 셋째 줄 '에릭'을 '피터'로. p232 : 4 '톰'을 '에릭'으로. p298 :밑에서 다섯째 줄 '프랭크'를 '톰'으로 p313 :5 '그'라고 해야 할 걸 '그와 프랭크'로(프랭크는 이 장면 바로 앞에 자기 방으로 들어갔고 작별인사함). 이름 표기도 p146 중간 쯤에 앞에 문장은 프랑크, 뒤에 문장엔 프랭크.
'리플리의 게임' 경우도 이름 바꾸기가 많았지만 표시를 안 해 두어서 옮기기 어렵고, 지금 기억 나는 것은 '칼'이라는 운전사가 가방을 들어 주는데 '조나단의 가방은 칼이 들었다'가 되어야 할 것을 '조나단의 가방에는 칼이 들었다'로 웃지 못할 표기를 해 놨다.
리플리 시리즈에 대한 기대를 하는 하이스미스 팬들도 많을 텐데 참 어이없고 안타깝다.
번역자와 출판사 양쪽 모두가 불성실하였다고 생각한다. 두 쪽 중에 어느 쪽이라도 조금만 더 자기 일에 성실성이 있었다면 있을 수 없는 실수들투성이니까.
'번역이 매끄럽지 못해서 상황파악이 안 된다'라는 불평은 원서를 읽지 못하는 독자 입장에서는 억울해도 증거를 댈 수 없는 하소연이 되어버리고 만다.
그러나 위에 지적한 '그책'출판사와 옮긴이 '홍성영'씨의 정신없는 표기들은 부끄러워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한 가지만 더 덧붙이자면, 부부 사이에 왜 항상 아내만 남편에게 높임말을 쓰는 번역을 하는지? 이 부분에서 한국 사회는 조금 달라진 것 같은데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는 지식인? 지식인(번역자)들이 현실을 앞서 내다보기는커녕 반영도 못한다면 문제 있는 것 아닐까요. 뭐 요새는 지식인 운운하는 것 자체가 너무나 구식이긴 하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