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쪽의 풍경은 환한가 - 그날 그 자리에 있을 사람에게
심보선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보선 <그쪽의 풍경은 환한가> 반 조금 넘게 읽었는데 내가 시를 쓰기 시작했을 때를 읽으며 약간 의아스러웠다. 예측과 예감을 구분하여 자신이 시인이 되는 사정을 생각하는 글인데 예측이란 측면에서 자신의 경우 시인이 될 수 없는 성장 배경을 가졌다는 것이다. 작가가 될 수 있는 성장 환경, 문화 자본이 없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집에 책은 많았으며 아버지가 좋아하는 작가가 있었으니, 바로 알베르 카뮈라는 것이다. 이게 대체 무슨 말인지. 자신을 소재로 예측과 예감을 구분해 일상의 인간이 시를 쓰며 거듭남을 이야기하고자 조금 무리한 거 아닌가 싶다. 아버지가 사상계를 읽고 카뮈를 좋아한다는 것은 굳이 예가 되어야 한다면 작가가 되기 힘든, 보다 작가가 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쪽일 텐데.

그래서 이 글 앞부분은 받아들이기 어색했으나 사실 이 글은 작가라는 존재에 대해 뛰어난 시선을 보여 준다. 다시 태어나기로 설명하는 나 아닌 나로서의 작가. 심보선은 더 나아가 글을 쓰는 자신을 나도 아니고 라고 부른다. 나보다는 더 신뢰할 수 있는 존재라서 우정이나 세상과의 모든 소통도 그를 통해 가능하다고 말한다. 이것은 희망을 갖게 한다. 특히 좋았던 부분을 조금 옮긴다.

< ‘쓰는 나는 쓸 수 없는 것을 씀으로써 인격적인 나를 소멸시킨다. 시를 쓰는 행위는 둘로 나뉜 나를 드러낸다. 분열이라기보다는 균열의 방식으로 그렇게 나뉜 나를 보여준다. 첫 번째 는 자신의 모든 과거를 현생으로 기억한다. 연속적이고 동일한, 그러므로 예측가능한 자아의 이력으로서의 현생 말이다. 두 번째 는 자신의 모든 과거를 전생으로 기억한다. 쓸 수 없는 것을 씀으로써, 나는 계속해서 나 아닌 존재로 거듭난다. 따라서 과거는 수많은 생성과 소멸을 거듭하는 타자들로 가득한 전생이 되는 것이다. >

어떻게 보면 시를 쓰는 행위가 정신승리의 과정이라고 설명하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어쨌든, 그래도 글을 씀으로써 나 아닌 존재가 될 수 있다니, 너무나 희망적이고 너무나 강력한 마법의 주문 같아서 글을 쓸 수 있기를 간절히 비는 마음이 된다.

아직 삼분의 일 정도가 남아 있지만 이 책을 읽으며 작가가 남을 부러워하는 대목이 너무 많아서 슬몃 웃음이 나곤 했다. 지금 생각나는 것만 해도 백석, 프랑스의 어떤 노시인, 노래하며 기타치는 사람, 아이가 있는 작가들, 최승자 시인 등등을 부러워하는데 책을 직접 확인해 보면 더 많다. 책 제목을 부러움의 책이라 해도 될 정도로 빈번하다. 여기저기 발표한 글이라 작가의 말처럼 글의 수준이 일정치 않지만 두고 되풀이 읽고 싶은 꼭지가 여럿 있다. 나의 경우 기존 지면에서 읽지 않고 이렇게 한 권의 책으로 만나게 되어 더 즐겁다. 나는 시인의 이름만 알고 있었는데 시인의 글을 더 읽고 싶다. 그래서 시집도 주문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