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름을 불러주는 것은 중요하다. 누가 내 이름을 불러줄 때 꽃이 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잡초가 되어 뿌리째 뽑힐 수도 있다. 이름이 있다는 것은 존재한다는 것이고 이름을 불러준다는 것은 그 존재를 인식한다는 것... 

2.
동해인가, 일본해인가? 노무현 대통령이 이 논란에 대해 '평화의 바다'란 제안을 한 적 있다. 좋은 생각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조선일보>를 비롯한 보수우익에서 난리가 났다. 이른바 진보라고 불리는 데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고 기억된다.
지금 다시 논란의 중심이 된 이 바다는 한국에서는 동해, 일본에서는 서해인 셈인데, 오늘 뉴스를 보니 한국해라고 부르자는 주장이 있다. 친절하게 sea of korea라고 표기된 영국 지도도 있다는 설명이다. 그런데 왜 시 오브 코리아가 한국해인가? 그러면 한국해와 함깨 북한도 고려해 조선해라고 병기해야 할까? 고려해로 통일해야 할까? 

3.
콜롬버스 덕분(?)에 아메리카 원주민은 인디안이 되었고 아메리고 베스푸치 덕분(?)에 아메리카는 아메리카가 되었다. 땅과 바다에 이름 붙이기는 전형적인 제국주의 시각이다. 어느 바다가 인도양이 되었든 스리랑카양이 되었든 바다는 그 바다에 살아가는 이들, 물고기와 프랑크톤과 해초와 어부의 것이어야 하지 않을까.
이름 불러주기는 대상을 인식하는 차원의 것이어야 하지 대상을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이 되어서는 곤란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