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박 넘기 ROUTLEDGE Critical THINKERS(LP) 3
스티븐 모튼 지음, 이운경 옮김 / 앨피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서발턴이 말할 수 있는가?>라는 스피박의 에세이를 읽는데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이 책을 읽으며 지독히 난해한 글쓰기가 스피박의 의도임을 알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그의 에세이도, 이 책도 잘 이해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서발턴'은 하위주체, 하위계층 등으로 번역된다. 또는 힘을 뺏았긴 사람들로도 옮겨진다. 그러나 서발턴에서는 이렇게 한 묶음으로, 집단으로 규정되어서는 안 되는 사람들이라는 반성적 사고가 깃들어 있다.  그들이 노동자, 비정규직, 도시빈민, 소작농민 등의 이름으로 규정되는 순간 그것은 서구 이론의 틀에 갇혀버린다. 힘을 뺏았긴 사람들 하나 하나는 이러한 이론적 틀로는 설명될 수 없는 개별적 고통과 경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들을 서구의 이론적 잣대로 설명할 때, 또는 재현하려고 할 때 그들은 말할 수 없게 된다는 것.   

 

   
 

 식민 담론 연구가 피식민지인이나 식민지에 관한 문제를 재현하는 데에만 집중한다면, 오히려 식민주의-제국주의를 과거에 안착시켜 현재의 식민주의적 지식 생사에 봉사하게 될 수도 있다. -232p

 
   

 

이러한 그의 발언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그런 점에서 스피박은 "유보적이고 비정형적 글쓰기 양식"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 때문에 그의 글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물론 그의 글만이 아니라 그의 글이 다루고 있는 서발턴의 삶과 고통이 쉽게 재현되기 어려운 성질의 것이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그럼에도 그의 에세이와 이론적 작업이 의미를 갖는 것은 서구, 또는 근대의 이론에 갇힌 피식민지인, 서발턴의 삶을 재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성찰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주어는 목적어다. 목적어는 주어다'라는 서술문은 사고의 대상이 그것을 탐색하는 주체에 의해 결정되는 방식을 논증한다. 이를 서구가 비서구의 세계에 관해 생산한 지식에 대입해보면, 사고 대상은 서구식 재현의 무게에 짓눌려 사라진다. -82p  
   


결국 서발턴이 말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은 서발턴에 의해 이야기하도록 하는 것, 서발턴의 자기 역사쓰기일까? 증언을 듣고 고통을 기록하고 그들의 삶을 재현하려는 르포르타주는 이 자기 역사쓰기와 어떻게 만나야 하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