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피박 넘기 ㅣ ROUTLEDGE Critical THINKERS(LP) 3
스티븐 모튼 지음, 이운경 옮김 / 앨피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서발턴이 말할 수 있는가?>라는 스피박의 에세이를 읽는데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이 책을 읽으며 지독히 난해한 글쓰기가 스피박의 의도임을 알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그의 에세이도, 이 책도 잘 이해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서발턴'은 하위주체, 하위계층 등으로 번역된다. 또는 힘을 뺏았긴 사람들로도 옮겨진다. 그러나 서발턴에서는 이렇게 한 묶음으로, 집단으로 규정되어서는 안 되는 사람들이라는 반성적 사고가 깃들어 있다. 그들이 노동자, 비정규직, 도시빈민, 소작농민 등의 이름으로 규정되는 순간 그것은 서구 이론의 틀에 갇혀버린다. 힘을 뺏았긴 사람들 하나 하나는 이러한 이론적 틀로는 설명될 수 없는 개별적 고통과 경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들을 서구의 이론적 잣대로 설명할 때, 또는 재현하려고 할 때 그들은 말할 수 없게 된다는 것.
|
|
|
|
식민 담론 연구가 피식민지인이나 식민지에 관한 문제를 재현하는 데에만 집중한다면, 오히려 식민주의-제국주의를 과거에 안착시켜 현재의 식민주의적 지식 생사에 봉사하게 될 수도 있다. -232p
|
|
|
|
|
이러한 그의 발언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그런 점에서 스피박은 "유보적이고 비정형적 글쓰기 양식"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 때문에 그의 글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물론 그의 글만이 아니라 그의 글이 다루고 있는 서발턴의 삶과 고통이 쉽게 재현되기 어려운 성질의 것이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그럼에도 그의 에세이와 이론적 작업이 의미를 갖는 것은 서구, 또는 근대의 이론에 갇힌 피식민지인, 서발턴의 삶을 재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성찰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
|
|
|
'주어는 목적어다. 목적어는 주어다'라는 서술문은 사고의 대상이 그것을 탐색하는 주체에 의해 결정되는 방식을 논증한다. 이를 서구가 비서구의 세계에 관해 생산한 지식에 대입해보면, 사고 대상은 서구식 재현의 무게에 짓눌려 사라진다. -82p |
|
|
|
|
결국 서발턴이 말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은 서발턴에 의해 이야기하도록 하는 것, 서발턴의 자기 역사쓰기일까? 증언을 듣고 고통을 기록하고 그들의 삶을 재현하려는 르포르타주는 이 자기 역사쓰기와 어떻게 만나야 하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