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포트 평전 - 대참사의 해부 역사 인물 찾기 26
필립 쇼트 지음, 이혜선 옮김 / 실천문학사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아마도 <킬링필드> 때문이었을 것이다. 중학교 다닐 무렵 학교에서 단체관람을 했다. 전두환 군사독재 정권이 이것도 반공영화라고 단체관람을 시킨 것인지, 그나마 나은 반공영화여서 여러 목록 중에 학교 선생들이 선택을 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좀 논다는 친구들은 화장실 다녀오는 척 하고 영화관 밖으로 내뺐지만, 나는 수업을 안 한다는 이유만으로도 만족하며 그럭저럭 영화를 다 봤던 것 같다.  

그렇지만 군사정권이나 그 시다바리에 가까웠던 학교의 애초 의도나 목적과는 달리 이 영화를 보고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 하는 생각은 들지 않았던 것 같다. 아니, 영화의 줄거리나 결말도 잘 생각이 나지 않는다. 다만 저녁무렵 허허벌판을 줄지어 걸어가는 사람들의 행렬만이 인상에 남았다. 그 속에서 나는 TV나 영화에서 보던 한국전쟁 당시를 연상했는지 모른다. '킬링필드'라고 알려진 캄보디아 크메르루즈의 학살을 그래서 1950년대 무렵 벌어진 일로 한 동안 잘못 알고 있었다.  

몇 년 전 크레르루즈의 핵심 멤버이자 킬링필드 학살의 책임자 중 한 명인 키우 삼폰인가 누온 체아인가를 인터뷰한 한계레21 기사를 보고 내가 알고 있던 기억이 대단히 잘못된 것이었음을 알았다. 그러나 정확한 사실, 킬링필드를 둘러싼 역사적이고 실체적인 진실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았다. 

공산주의 세력인 크메르루즈가 왜 공산화 된 베트남과 전쟁을 했어야 했는가? 캄보디아 국왕이었던 시아누크는 왜 그들을 탄압하다가 다시 그들과 협력했고 마침내 다시 그들과 결별했는가? 무엇보다도 인민해방을 추구했던 크메르루즈가 왜 인민을 그토록 무참하게 학살해야만 했는가? 

이런 의문들에 대한 나름의 해답이 <폴 포트 평전>에 나와 있다. 필립 쇼트가 지은 이 책은 사실 평전이라기보다는 크메르루즈와 킬링필드에 대한 르포에 가깝다. 폴 포트와 그의 동료들은 중국의 마오쩌둥이나 베트남의 호치민과 같이 식민주의에 맞선 민족해방의 이념을 프랑스 유학을 통해 '마르크스주의'에서 찾아냈고 중국과 베트남에서와 마찬가지로 캄보디아에서 그 이념을 구현하려 했다. 하지만 그 방법은 중국이나 베트남, 혹은 북한과도 달랐으며 훨씬 더 극단적이고 급진적이었다.    

그래서 저자는 크메르루즈를 일반적인 공산주의, 맑스주의라고 보기보다는 오히려 소승불교와 앙코르와트의 재현이라는 캄보디아 민족 특유의 문화에서 발생한 변종으로 보고 거기에서 원인을 찾으려고 한다. 그리고 이 책은 그런 점에서 꽤나 설득력이 있다. 또한 캄보디아에서의 대량학살, 제노사이드는 크메르루즈 뿐만이 아니라 당시(그리고 지금 현재도) 캄보디아를 둘러싸고 있던 베트남, 중국, 소련, 미국과 같은 주변열강에게도 상당부분 책임이 있음을 대단히 풍부한 사료와 증언을 통해 증명해내고 있다.  

그럼에도 어떻게 인간해방의 이념이 대량학살로 치닫게 되었는지, 그것도 특별히 부패하거나 비교적 타락하지 않았던 집단에 의해서 그러한 만행이 벌어졌는지에 대해 나는 아직도 의문을 떨칠 수 없다.  

어쩌면 모든 '주의'와 '이념'의 극단은 이토록 무서운 것일까? 쇼트가 지적한 캄보디아 특유의 문화, 개인주의적이며, 위선적으로 보일만치 속마음을 드러내지 않고, 거짓을 아무렇지 않게 말하며 현실에 대해 체념적인 풍토와 나치나 스탈린주의 같은 전체주의가 결합했을 때 인류는 이토록 심각한 위협을 직면하게 되는 것일까? 그렇다면 한국사회도 어쩌면 그런 위협에 대비해야 되는 것은 아닐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優良出会い系サイト 2011-06-15 1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으로 서두에 보여드린 이미지는 디자인로그의 포토샵 강좌 게시물을 운영 중인 페이스북 'Design' 페이지로 공유한 모습입니다. 아주 깔끔하게 링크 업데이트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을 겁니다. 여러분도 페이스북 '코멘트(commets)' 소셜 플러그인을 완벽하게 설치하셔서 많은 페이스북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