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시간에 마빡이와 결혼하는 악몽(?)을 꾸다 깬 여고생. 고개를 드니 “열심히 공부하면 신랑 얼굴이 바뀐다”는 급훈이 눈에 딱 들어온다. 정신 번쩍 들어 불철주야 공부하는 여고생을 보여주며 끝나는 한 이동통신사 CF를 보다가 요즘은 급훈이 열심히 공부하면 집 평수가 바뀐다거나 내 집을 장만할 수 있단 것으로 바뀌지 않았을까 싶다. 다른 CF에서는 아주 품격 있는 목소리로 “당신이 사는 곳이 당신이 누구인지”를 말해준다고 알려주니 벌써 변두리 어디쯤에선가 학교를 다니고 있을 아이들은 일찌감치 대포자(대학포기자)의 길을 염두에 두었을지 모를 일이다.

“17년 전 부동산 폭등 때 17명이 자살을 했는데 내년 봄 전세 철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죽을 수 있다.”  

한 부동산 관련 전문가의 말이다. 통계에 의하면 대한민국에서는 30분에 한 명씩 자살을 하며 하루 3건이 생계형 자살이라고 하니 집은 분명 목숨과 깊은 연관이 있다. 어디 집 없는 자 뿐이랴. 800만 비정규직과 100만 이주노동자, 새만금 어민들과 평택 대추리의 주민들, 그리고 사회적 존재 자체를 부정당하는 무수한 약자들. 그들이 받는 수모를 곁눈질하며 그들처럼 되지 않기 위해 학교에서 200대의 구타를 감수하고까지 기를 쓰고 입시교육을 버텨내는 우리의 아이들 모두 21세기 난장이들이다.

1978년 초판이 나와 어느덧 200쇄 인쇄를 넘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조세희, 문학과지성사). 소설 이후에도 무수한 난장이들이 죽어갔다. 그러나 소설에서 그려진 빈곤과 장애, 주거와 노동의 문제 어느 하나 속 시원히 해결되기는커녕 뒷걸음질이다.

‘난쏘공’이 대명사가 되어버린 이 소설이 26년만인 내년 3월 연극무대에 오른다. 이 연극은 정말 연극처럼 80년 중앙정보부의 압력으로 1주일 만에 공연 포기각서를 쓰고 상연을 접었다. 연극 난쏘공은 중단되었지만 현실에서의 난쏘공은 중단되지 않았다. 이제 대입 막판에 버티고 있는 논술을 준비하며 난쏘공을 읽었을 난장이들을 생각하면 현실은 소설만큼이나 비극적이다. 또한 현실은 소설이나 CF보다 잔인하다. 그래서 작가 조세희는 아직도 물대포를 맞아가며 카메라를 들고 시위현장을 누비고 있다.  

- 2006년 12월 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