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 없이 무척이나 소란한 하루 - 상실과 치유에 관한 아흔 네 가지 이야기
멜바 콜그로브 외 지음, 권혁 옮김 / 돋을새김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늘 웃을 수 있는 그러한 좋은 날들만 바라는 것이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의 바람이겠지만 어째서인지 그러한 바람은 늘 나의 간절함과는 관련없이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가곤 한다. 그리하여 마주하게 되는 실망과 때로는 밀려드는 좌절과 그에 수반되는 아픔 혹은 고통은 우리를 잠식하게 되는데 그 아무리 이러한 것들이 나를 피해가기를 바란다고 하지만 어느 순간에 나의 곁에 도래하게 되는 상처들에 대해서 우리는 어떻게 이것들을 이겨내면 좋을지에 대한 이야기가 이 안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심리학자에서부터 철학자, 시인들이 모여 우리네 감정에 생긴 생채기를 치유하기 위한 처방을 이 안에 담아 놓았다고 하니, 그 시작에서부터 벌써 위안이 되는 기분이다.

상실 상태에 놓여 있게 되면서 인간이 지나가게 되는 각 단계를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 첫 번째 단계인 충격, 거부, 망연자실을 지나 두려움이나 울화를 거쳐 우리는 이른바 이해라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고 한다. 현실에 대한 부정부터 시작되면서 그것이 나에게 도래한 현실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회피하거나 거부해버리는 그 단계를 거치고 나서 왜 하필 나에게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게 된것인지에 대한 두려움, 그 암울한 시간을 지나서야 이해라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는데, 그 3단계를 지나기 위한 시간들이 다분히 우리가 우리를 다독이기 위한 시간들이라고 하니, 조금씩 위안이 되는 기분이다.
혼자라 두렵기도 하고 아무리 전화번호부를 뒤져 보아도 당췌 어디로 전화를 걸어야 할지 몰라 이내 조용히 핸드폰을 주머니 속에 넣고 있는 우리에게 저자는 그 찰나의 쑥쓰러움을 이겨내고 당당히 누군가에게 도움의 손길을 건데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저 함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야기를 나누고 눈을 마주치며 누군가의 온기를 느끼는 것만으로,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전화나 메세지등을 통해서라도 세상과의 소통의 끈을 놓지 말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막막한 그 순간들이, 마치 세상에 홀로 떨어져 있는 듯한 적막감을 느끼는 그 순간 조차도 다분히 나는 정상적인 것이며 그러한 고통을 홀로 거머쥐는 것이 아니라 함께하는 방법들을 알려주고 있다.
누구에게나 드리우는 그늘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그 뒤에 다시 반짝하고 뜨는 태양을 위해서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해 알려주는 이 책을 읽으며 잔잔한 위안을 얻어 간다. |
『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 / 배르벨 바르데츠키저
독서 기간 : 2014.03.23~03.25
by 아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