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와 하녀 -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마이너리티의 철학
고병권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르's Review

 

 제목을 보면서 <철학자와 하녀>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라는 의구심을 떠올리게 된다. 철학자와 하녀라니 과연 이 공통분모가 무엇일까? 라는 생각을 해보아도 도통 그 문제의 답을 얻어낼 수가 없다. 철학자와 하녀는 전혀 어울리는 조합이 아니니 말이다. 철학자라는 이들에 대한 이미지는 그저 그들만의 세계 안에서 하나의 현상에 대해서도 그들만의 눈을 가지고 바라보는 것이 보통이라면 하녀라 함은 그러한 철학적인 문제를 떠올리기는 커녕 오늘 하루를 살기 위해서 부단히 지내야 했던 이들이다. 가만히 생각해도 그 둘의 교집합을 도무지 설명할 길이 없어 멍하니 있는 나에게 저자는 서문에서 쉬이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전해주고 있다

철학이 일상의 삶과 무관하게 저 하늘의 별만을 보는 것이라면 가난한 사람들이 지적하듯 철학은 한가한 일이나 쓸모없는 일이 되어버린다. 하지만 가난한 사람들이 떠받드는 현실 감각 역시 그들 자신을 빈민으로 양산하는 현실에 대한 추인에 불과하다면 그것은 노예의 자기 위안에 불과할 것이다. 이처럼 철학과 가난한 사람이 대립하는 곳에서는 철학도 불행하고 가난한 사람도 불행하다. 철학은 기꺽해야 현학적 유희이거나 비현실적 몽상에 불과한 것이 되고, 가난한 사람은 현실 논리를 재빨리 추인함으로써 영리한 노예, 성공한 노예가 될 뿐이다. -본문 

 그저 각자의 길을 가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철학자와 하녀를 보면서 저자는 그들 자신이 가진 벽을 허물기 위해서 철학자만이 가진 철학을 하녀에게 전해주고 하녀가 가진 현실의 눈을 철학자에게 전해줄 필요가 있다 생각을 했다는 것을 보면서 이 책이 일반적인 철학에 관한 이야기가 아닌 조금더 살갑게 다가올 책이라는 것을 느끼며 안도의 마음을 안고서 읽어내려가기 시작한다.

 학창시절을 넘어 지금도 가끔 공부를 해야지, 할때면 그 준비하는 시간부터가 벌써 요란하기 마련이다. 교재는 어느 것이 좋으며 조금 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며 학원을 가야하는지 동영상을 들어야 하는지, 독서실을 끊어야 할지 집에서 해야할지 오만가지의 생각들이 중첩되면서 공부를 시작하기 전부터 삐걱거리기 마련인데 사전준비가 철저히 필요하다고 말하는 데카르트와 사전준비가 필요 없이 공부를 시작해야만 앎이 시작된다고 이야기하는 스피노자의 이야기를 보면서 이전의 내가 공부했던 모습에 대한 회한을 다시금 생각해보게 된다.

데카르트가 든 예씨에 스피노자의 생각을 풀어보자면 이렇다. 아마도 처음 공부를 시작하는 사람에게는 '모루'같이 세련된 것이 곧 바로 주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망치로 쓸 수 있는 것은 주변에 널린 자갈에 지나지 않고, 집게라고 하는 것은 그저 나뭇가지에 지나지 않았을지 모른다. 그러나 바로 그것이 인식의 시작이고 공부의 시작이다. 우리가 그것들로 뭔가를 만들어내는 한에서 말이다. -본문 

 연장을 탓하기는 했으나 늘 시험이 앞에 다가올 수록 내 스스로의 준비 시간이 부족했다는 것을 늘 깨달았으면서도 또 다시 무언가를 시작할때 공부를 위한 준비로 더 많은 시간들을 소비하는 헛된 반복을 되풀이하고 있었다. 이 순간 만큼은 스피노자의 이야기에 한 표를 던지며 페이지를 넘기고 있었다.

 

 현재의 우리가 조선시대를 마주하게 되면 종종 '전근대적이다'라는 평가를 많이 하곤 한다. 그 당시 조금더 문호를 개방하고 세상을 일찍 마주했더라면 우리는 더욱 발전할 수 있지 않았을까, 라는 이야기들을 듣게 되는데 이미 지나온 길이기는 하지만 현재의 우리의 눈에는 아쉬운 점들이 보이지 않을 수가 없다. 더 좋은 길들이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 책 속에서는 '전근대적이다'라는 평가에 대해서 과연 초점을 제대로 맞추어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해 먼저 우리에게 물어보고 있다.

노사관계는 전근대적이고 '전근대적'이라고 말하는 그런 관행은 근대사회인 우리 사회의 병페이지 전근대사회에서 일어난 일이 아닙니다. 자신의 치부를 과거 사회에 책임 지우는 우리 시대의 못된 습관이라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그의 한탄에 공감이 간다. 그는 이 땅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왕조, 무려 오백년을 지속한 조선의 체제가 가진 ''이 무엇이었는지 우리가 잘 모른다고 말한다. -본문 

 조선시대에 대한 평가 뿐만이 아니라 장애인이었던 한 남자가 집회에 참여했다가 강력한 억압을 받는 순간을 목도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장애인에게 무리하게 법을 집행한 주체에 대해 비난을 하며 그 자리에 있었던 장애인에 대해 안타까움을 드러내고 있지만 그는 오히려 사람들의 그런 시선에 대해서 되물어보고 있다. 전근대적이고 말하는 것은 현재 우리가 과거에 잘못을 넘기려 하는 것과 같이 장애인에 대한 관심을 이렇게 표현을 하고 있다고 말이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고 있어서 곁에 있는 것들에 대해서도 똑바로 바라보지 못하고 있는 나에게 저자는 철학이라는 이름을 벗어던지고 그 안에 있는 것을 다시금 마주할 수 있게 이 책을 통해서 말하고 있다.

 전근대적인 사고를 안고 현대를 살고 있는 것이 누구였는지에 대해서 절실한 현실을 마주하게 되면서 나는 철학자도 하녀도 아닌 그저 별볼일 없는 하나의 인간으로 살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철학자와 하녀의 그 중간에서 살기 위해서 익숙한 그 순간에도 눈을 뜨고 생각을 하며 살아야 한다는 것을 느껴본다.

 

 

아르's 추천목록

 

『철학이 필요한 시간』 / 강신주저


 

 

독서 기간 : 2014.06.06~06.08

by 아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4-06-29 11: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철학자하녀 서평 찾다가 들어왔는데 독서량이 굉장하시군요 ! 글 잘 읽었습니다.

미라클 2014-07-01 16:35   좋아요 0 | URL
한권 한권 열심히 읽어보려 하고 있거든요.
아직 부족한 게 많은데 잘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