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와 함께 달리는 여인들 - 원형 심리학으로 분석하고 이야기로 치유하는 여성의 심리
클라리사 에스테스 지음, 손영미 옮김 / 이루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르's Review

 

 

  

   제목을 보고서는 판타지 같은 느낌의 소설인 줄만 알았다. 늑대와 여성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전혀 찾아보지도 못했고 그저 늑대와 함께 모험을 즐기는 그러한 여성에 대한 내용을 담은 소설이겠거니, 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은 융에 관한 심리학자인 저자에 의해서 여성의 본 모습을 찾아갈 것을 권하는 인문학에 관한 책이었다.  

표지만 보아서는 그저 판타지 소설이라고만 짐작했었는데, 과연 그렇다면 늑대와 여인과는 대체 어떠한 관련이 있는 것일까? 그리고 이것이 과연 융의 시각에서 보았을 때 심리학적으로 어떠한 관계가 있다는 것일까? 그 관계의 고리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서문의 내용만으로도 깜짝 놀랐던 나는 급히 이 책을 읽어내려가기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여성이라는 단어를 쓸 때 Woman이라고 쓰고 있다. Man이라는 글자 앞에 Wo가 더해진 이 영어 단어를 보면서 사실 단 한번도 그 어원에 대해서는 생각지도 못했는데 이 단어 속에서 바로 늑대와 여성과의 상관관계가 드러나고 있었으니, 바로 Wolf의 옛말에서 이 Woman이라는 단어가 파생된 것이라고 한다.

 

 이는 원래의 여성이 가지고 있는 기질 안에는 늑대의 본성, 그러니까 신화나 고전, 전설 등에 등장하는 이야기들을 마주하게 되면 그 안의 여성들은 예민하지만 또 그 안에서는 강한 희생정신을 가지고 있는 여성성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와서 이러한 늑대와 같은 여성성이 사라지고 있는데 기독교의 관습과 가부장제 등의 관념 속에서 늑대와 같은 여성성이 잊혀져 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주장하고 있다.

 

 우리도 미살리사처럼 지혜가 요구 될때 오히려 착한 소녀가 되려는 경향이 있다. 예리한 통찰력으 버리고 남들과 잘 어울리는 것이 미덕이라고 배운다. 그러나 억압적인 환경에서 그저 착하게만 행동하면 돌아오는 것은 더 많은 학대와 부당함 뿐이다. 만일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멀어지고 있다고 느끼는 여성이 있다면 그저 단시 영혼을 위해 변화를 창출하고자 하는 심리적인 긴장감일 뿐임을 잊지 말자. -본문

 

 본래 여성이 가지고 있던 내면의 강인함과 더불어 공존하고 있던 아름다움을 잊어버린 채 타인, 그 중에서도 남성들이 원하는 여성성만을 가지게 된 우리에게 경종을 울리고 있는 것으로 야성을, 그러니까 통제가 불가능한 것들이 아닌 다분히 우리안에서 통제 가능한 그 야성을 깨울 것을 종용하고 있다.

 

 많은 여성들의 내면에 갈망하는 존재가 들어 있다는 말은 사실이다. 그러나 키나 체형 등 외모만을 갈망한다고 생각하면 이는 착각이다. 여성들은 자기를 인정하고 종중해 주기를 갈망한다. -본문

 

 <백조가 된 미운 오리 새끼>,<신데렐라>, <여자를 밝히는 거인, 푸른 수염이야기>등을 통해서 저자는 여성의 힘에 대한 내용들을 전해주고 있으며 그 안의 현명함이 빛나는 여성만의 야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읽는 내내 당당하게 그 누구에게도 위축되지 않는 여걸로서의 나를 돌이켜볼 수 있도록 많은 생각을 하게 해준 이 책을 보면서 더 이상 늑대가 남자들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것을 배우게 된다. 늑대처럼 달리던 여인들처럼, 나도 당당히 오늘을 걸어봐야겠다.   

 

아르's 추천목록

 

리추얼 / 메이슨 커리저

 

 

독서 기간 : 2014.02.16~02.18

 

by 아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