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트리샤 처칠랜드의 <신경 건드려보기>를 읽고 있는데 원저자의 문체 탓인지

번역이 영 매끄럽지 않다. 구글 번역기로 돌린 듯한 어색한 문장이 가독성을 떨어

뜨리는 탓에 책읽기 진도가 잘 나가지 않는다. 번역이 정말 신경 건드린다.

 

 이 책의 저자인 패트리샤 처칠랜드의 남편 P.M 처칠랜드의<물질과 의식>

은 매우 흥미롭게 읽었다. 이 부부는 신경철학을 연구하는데 뇌과학과 심리철학

을 접목해서 신경철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있다.

이 부부가 주장하는 철학적 입장을  '제거주의(eliminativism)'라고 하는데 이름도

무시무시한 제거주의가 주장하는 바는 한마디로 "의식현상을 설명할 때 일체의 비

물질적 요소를 배제한다" 는 것이다. 다시말해, 인간의 의식은 인간의 뇌(또는 신체)

와 동일하다는 심신동일론을 주장한다. 이러한 철학적 입장은 다르게 말해서 뇌물리주의

라고도 하는데 가장 강력한 환원주의의 일종이다.

 

 그리고 이런 이론은 알파고와 같은 인공 지능이 가능함을 뒷받침 하는 이론인데 이런

철학적 입장에 태클을 거는 비환원주의자들도 많다. 호주 철학자 데이비드 차머스는

의식을 단순히 뇌의 부수현상이 아닌 이 우주의 기본적 구성요소로 보기도 한다.

우리가 알고있는 이 세계(전 우주의 구성요소가 아닌,, 우리가 현재까지 알고 있는 우주의

90퍼센트는 암흑물질이고 나머지 10퍼센트 정도가 수소나 헬륨 같은 물질이다)의 구성요소는

 물리적 원소, 물리적 힘(전자기력, 핵력, 강력, 중력) 등인데 여기에 의식도 추가해야 한다는 것..

 

사실 나는 알파고는 인공지능도 아니고 알고리즘에 기반한 강력한 전자계산기일뿐이라고

생각하는데 얼마전에 언론에서 알파고가 이세돌과 바둑대결할 때 워낙 인공지능이 어쩌고

저쩌고 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이 인간을 지배할 지도 모른다고 겁주는 보도를 해댔었다.

덩달아 스티븐 호킹이라는 사람도 인공지능 연구는 인류에게 해가 될 수도 있다는 경고를

했었는데 내가 보기엔 스티븐 호킹이 좀 오버하지 않았나 싶다.

 

 알파고는 계산기일뿐이며 의식은 커녕 인공지능도 없다. 의식을 가진다는 것은 현상학에서

이야기하는 지향성을 가진다는 의미다. 지향성이 없는 것은 의식이 아니다. 이런 점에서

알파고는 의식과는 거리가 멀다. 알파고는 바둑을 둔 것이 아니라 계산을 한 것 뿐이다.

전자 계산기를 보고 지능이 있다고 하는 사람이 어디 있나..

진짜 의식을 가진 존재라야 인간을 위협할 수 있을 것이다. 개나 고양이가 지능은 있지만

인간과 같은 의식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개나 고양이일뿐임..

 

 이야기가 좀 다른길로 새버렸는데 아무튼 처칠랜드 부부의 제거주의 신경철학 분야는

앞으로도 꾸준히 찾아 읽을 생각이다. 남편인 p.m 처칠랜드도 <플라톤의 카메라>라는

책을 새로 냈는데 이 책은 가격도 만만치 않고 어려울 것 같아 구입 망설이는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