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바타 - Avata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톰 행크스의 연기는 연기 같지 않다. 자연스럽다. 일상이다. 아카데미가 두 번이나 선택한 이유는 거기에 있다. 실로 연기의 최고봉이다. 설경구의 연기는 매우 연극적이다. 최민식은 파토스를 극대화시킨 연기를 보여준다. 송강호는 자연스럽다. 밀양에서 보여준 송강호의 연기는 일상이다. 개인적으로 송강호를 한국 최고 배우로 꼽는 이유다.
이 영화 아바타의 그래픽은 자연스럽다. 어색하지 않다. 그래픽이라고 애써 인지하기 전엔 제 존재를 숨긴다. 게다가 3D로 보면 더더욱 실감난다. 아바타에 대한 찬사가 쏟아지는 이유다.
영화는 제국주의의 침탈과 자아정체성의 혼란을 두 개의 골조로 한다. 다만 자아 정체성의 혼란은 영화 제목만큼 뻔해 보인다. 오히려 제국주의의 침탈이란 주제가 더 명징하다. 나비 족을 대하는 인간의 모습은 제국주의 시대의 열강(列强)과 닮아있다. 나비족의 문명을 우습게 알고 그들의 기술적 뒤쳐짐을 무시한다. 나비족을 신비롭게 그린 것에서 ‘오리엔탈리즘’과 비슷한 징후도 느껴진다. 다만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의 말 그대로 환영이고 나비족의 가이아적 생태는 실존한다. 20세기 역사와 달리 영화 속 미개인들은 이러한 자연의 힘으로 침략을 이겨낸다.
왜 인간의 영혼을 가진 자가 나비족을 대표하는 지 의문을 가질 수도 있겠다. ‘파워 오브 원’이란 영화에서 백인이 흑인의 상징적 존재가 되는 그런 부조리함이 겹쳐지는 순간이다. 하지만 이 정도는 상업 영화가 지는 약한 고리 정도로 봐줘야겠다. 제임스 카메론 감독은 예술 영화를 만드는 게 아니라 영리한 상업 영화를 만들 뿐이다. ‘터미네이터’에서는 인류의 무한한 기술발전이 초래할 세계의 붕괴를, ‘타이타닉’에선 계급과 사회적 억압기제를 뛰어 넘는 위대한 사랑을 역설했다. 뻔한 주제를 뻔하지 않게 드러내는 그 치밀함이 제임스 카메론의 재능이다. 이 이상을 바라는 건 말 그대로 유토피아다. 즉 존재하지 않는 세상이란 말이다.
헌데 이 영화에 대한 언론의 평이 재밌다. 동아일보에선 다음과 같이 평했다.
상상력을 떠받치는 기술과 자본의 힘 앞에 할말을 잃는다. ★★★★ (박유희)
그저 현란한 비주얼만 추구했다. ★★☆ (정지욱)
조선일보에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새로운 영상미를 보여준다고는 하지만 볼 내용 자체가 새롭지는 않은, 제임스 캐머런의 보기 드문 범작.★★★ 이상용·영화평론가
―영화기술의 선구자, 또 한 번 영화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황희연·영화칼럼니스트
한겨레 이지성 기자는 ‘억’소리 나는 볼거리.. ‘싼티’나는 아이디어 라고 말했다.
결국 일간지 기자들은 영화의 콘텐츠 부족을 개탄하는 의견이 다수다. 조선일보는 기자들을 동원하진 않았지만 특이하게 동아일보와 비슷한 평점을 매겼다. 유력 일간지 기자간의 카르텔을 의심할 만한 부분이다. 상대적으로 낮은 평점은 매체 자체의 영향력에 걸맞은 비판 의식과 달라야 한다는 강박의 결과일지도 모른다. 예의 그 콧대 높음이 역으로 천박하다.
이에 반해 씨네 21에서는 매우 긍정적인 평을 내 놓는다.
★★★★★ 지상 최대의 쇼 김도훈
★★★★☆ 새로운 세계를 보여주는, 미래의 영화를 선취했다 김봉석
★★★★ 무섭다, 날개를 단 카메론 감독! 박평식
★★★★★ 신이 질투할까 걱정스러운, Brave New World 이용철
★★★★★ 귀신이 봐도 싼다 주성철
★★★★☆ 블록버스터 역사의 새 이정표 이동진
★★★★☆ 앞으로 수년간 이 영화를 보지 않고 영화를 말할 수 없다 황진미
찬사 일색이다. 새로운 황홀경을 체험한 듯하다. 평론가들이 별 다섯 개를 다 주는 작품은 2~3년에 한번 꼴이라고 보았을 때 이런 찬사는 보기 드물다. 이렇듯 영화 전문 잡지와 일간지와의 평가가 꽤 많이 차이 난다. 헌데 영화를 보더라도 영화 평론가들이 일간지 문화부 기자들보다 더 많이 봤을 테다. 물론 이동진 씨는 조선일보 기자 출신이긴 하지만 그는 조선일보 내에서도 영화 부문에선 에이스였다.
일간지 기자들의 평을 보면 아무래도 케인즈가 이야기한 ‘미인선발대회’ 이야기가 생각난다. 미인선발대회 채점자들은 자신들이 예쁘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높은 점수를 주는 게 아니라 남들이 높은 점수를 줄 거라 생각하는 사람에게 고점을 준다는 이론이다. 아바타라는 영화는 세계에 동시 개봉했다. 결국 외국 유력 언론의 평을 듣지 못했기에 일간지 기자들은 눈대중으로 평점을 매긴 듯하다. 영화를 많이 보는 이라면 온당 뻔한 줄거리를 탓할 줄 알았을 테다. 평범함을 비범하게 만드는 제임스 카메론의 장점을 제대로 살피지 못한 결과다. 시오노 나나미는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보면 이렇게 느꼈다지 않나. ‘천재란 결국 평범함 속에서 비범함을 만드는 사람이라고 본다’라고.
결국 매체 영향력은 크지만 어설픈 전문기자의 아바타 흠집 내기는 실패한 듯하다. 매체 영향력은 작지만 전문적인 영화 평론가의 말이 대중과 일치한다. 간만에 대중과 전문가 평점이 일치하는 영화가 나왔는데 기자들은 그와 같이 호흡하지 못해 아쉽다. ‘다크 나이트’도 대중과 전문가, 나아가선 기자들의 평점이 거의 비슷했다. 아마 국내와 미국의 개봉 일자가 달라서 그랬을지도 모른다. 게임이론에서처럼 리더가 있으면 팔로어처럼 따라 하기만 되는 게 문화 평이니 말이다. 간만에 제 자신이 리더가 된 일간지 기자들은 어설픈 헤아림으로 핀잔을 맞을 듯하다. 물론 이 글에선 씨네 21 기자들의 평이 옳다는 전제가 깔려 있기에 그 도그마가 사맛디 아니한다면 글이 거슬릴 수도 있겠다. 참으로 대중은 알기 어렵고 제 자신을 알기는 더더욱 어려운 듯하다. 그래도 너무 정치적 바름을 추구하다보면 그 의견에 귀를 기울이기 힘들다. 간만에 좋은 영화를 보았기에 일간지들의 ‘딴지’가 거슬려 또 다른 딴지를 걸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