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까지나 너를 사랑해 언제까지나 너를 사랑해
로버트 먼치 글, 안토니 루이스 그림, 김숙 옮김 / 북뱅크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식이 부모를 속상하게 하면 대부분의 부모들이 하는 말이 있다. "너도 꼭 너 같은 자식 낳아 봐라. 내 맘을 알테니..." 왜 세상의 많은 일들이 경험하지 않고는 절대 모를까. 가끔은 경험해야만 아는 인간의 미욱함이 안타깝기는 해도 지금 곰곰히 생각해 보면 그게 또 인생을 공평하게 만드는 유일한 방법인것 같기도 하다. 경험하지 않고 말로만 듣고 모두들 진리를 알고 실천할 수 있다면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좋아질테고 그럼 앞서 태어난 사람들은 너무나 억울할테니 말이다.

 부모의 자식 사랑. 우리는 모두 부모의 사랑을 받고 자라면서도 그걸 모른다. 부모가 되기 전까지는 부모가 얼마나 자식을 사랑하는지 말이다. 철들면서 이성의 사랑을 갈구하면서 우리는 그것이 엄청나게 대단한 사랑이라고 느낀다. 물론 엄청나게 대단하다. 하지만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처럼 끊임없이 줄기차게 솟아나진 않는다.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 그것은 마르지 않는 샘이다.

 이 책을 읽고 눈물 짓는 이유, 그것은 나의 부모를 생각하기 때문이요, 나의 자식을 생각하기 때문이다. 부모에 대한 사랑, 자식에 대한 사랑, 그것이 눈물 나는 이유는 그 사랑에는 고난과 인내가 함께 하기 때문이다. 부모는 자식을 위해 어려움을 참고 인내하고 희생하고 헌신한다. 자식들은 그런 부모의 사랑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왜 당연할까? 정말 당연한 걸까? 당연하다. 부모의 마음에는 자식에 대한 사랑이 마르지 않고 솟아난다. 그러나 부모가 자식을 사랑한다고 항상 자식의 말을 모두 들어주고 자식에게 쩔쩔매면서 살아야 하는 건 아니다. 사랑을 잘못 표현한 사람들은 늙고 힘이 없을때 자식에게 전화걸어 와 달라고 하면 그 자식은 한걸음에 달려와 자신이 들었던 자장가를 들려주는 대신 바쁘다는 말 한마다 남기고 전화를 딸칵 끊어 버릴 것이다. 그 딸칵 하는 소리가 엄마의 심장에 연결된 핏줄이 끊어지는 소리인줄도 모르고 말이다. 사랑은 하는데 그 사랑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 그것 역시 부모가 풀어야 할 숙제다. 무엇이 자식과 나의 행복을 추구하는 길인지. 물론 가장 중요한 건 사랑한다는 것, 그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헬리콥터의 여행 베틀북 그림책 46
고미 타로 글 그림, 김난주 옮김 / 베틀북 / 2003년 4월
평점 :
품절


 고미타로의 책은 언제나 심플하다. 그러나 그 심플함 속에 진리를 담고 있다. 누가 그랬던가? 진리는 심플한 것이라고. 그래서 그의 책은 언제나 명쾌하면서도 심금을 울린다. 헬리콥터의 여행도 그렇다. 아주 예전에 어떤 전집물 안에 있는 걸 본 적이 있는데 얼마전에 단행본으로 나와 무척 반가왔다. 보고 싶은 책이 그렇게 전집에 끼어 있는 경우 참 곤란하다. 낱권으로 판매하지 않는다니, 이 얼마나 비합리적인 방식인가. 하여간 전집 판매 방식은 없어져야 한다.

 작고 귀여운 헬리콥터는 그 모양만으로는 하늘을 떼로 날아다니는 잠자리나 혹은 이름 모를(내가) 날벌레들이 생각난다. 그러나 그 내용을 찬찬히 보면 헬리콥터의 여행이라는 것이 결국 인간의 삶을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다. 미혼이었을 때, 이 책을 보았다. 그 때는 그저 작고 귀여운 헬리콥터, 단순하면서도 극적인 그림들, 거기다 정적이면서도 심플한 글들 그냥 그것만 눈에 들어 왔는데 이제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다시 이 책을 보니 아, 어쩌면 우리 인생을 이렇게 심플하게 잘 표현해 놓았을까 하는 감탄을 절로 하게 된다.

 그것이 다라고 말하지 못하겠지만 사람이 태어나 부모 손에서 자라 어느날 부터 처음부터 혼자 큰냥 자신이 혼자라고 생각하며 지내다 혼자인 외로움을 달래줄 상대를 만나 사랑을 하고 그 사랑하고 새로운 생명을 만드는 일, 그것이 인생아니던가. 그리고 그 생명은 그 전의 생명과 비슷하지만 다른, 다르면서도 비슷한 삶을 또 살아갈 것이다.

사람들이 자식을 낳는 이유는 여러가지겠지만 내가 막상 자식을 낳아보니 자식을 낳는, 아니 자식을 낳아서 얻는 여러가지 것 가운데 중요한 한가지는 깨달음이다. 자식은 우리에게 새로운 세상을 보여준다. 이미 내 안에 다 들어 있었지만 미처 보지 못했던 것들을 새롭게 보여준다. 우리 부모의 나 자신에 대한 사랑, 그리고 자식이 살아갈 세상에 대한 걱정, 그리고 내가 살아왔던 어린시절, 그것들이 무엇인지 어떤 것인지를 자식이 새롭게 보여준다.  결국 자식을 낳아 기른다는 건, 인간적으로 부족한 인간들이 조금은 더 인간다워지는 길이 아닌가 싶다. 물론 이런 이야기를 하면 내 주변의 무상파(무자식이 상팔자) 멤버들은 고개를 흔들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으로 만나는 태교
김도향 지음 / 프리미엄북스 / 1999년 3월
평점 :
품절


 마음으로 만나는 태교, 읽다보면 마음이 태교의 답이라는 생각이 자연스레 든다. 마음이 고요하면 시끄러운 욕소리도 그저 노랫가락정도로 들릴 수 있고, 마음이 평화로우면 아이도 덩달아 평화롭고 행복하고, 마음이 안정되면 아이의 모든 것이 자연과 순응하여 열달동안 편안히 잘 지낼 수 있고,. 마음이 즐거우면 행복의 파랑새가 어느새 눈앞에 파닥이게 된다.

 마음이 답이다! 태교 뿐만 아니라 사는게 그러하다. 마음만 잘 다스리면 언제나 행복하고 즐겁고 만족스럽게 잘 지낼 수 있다. 난 뱃속에 있는 아이에게 단 한가지 이야기만 했다. 언제나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이 되어라. 남편은 그러다 아이가 너무 작은 일에 만족하면서 아무 꿈과 야망이 없는 사람이 되면 어쩌냐고 걱정한다. 하지만 인간이 진정 행복해 지는 길은 만족할 줄 아는 것에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 내가 가진 것, 지금 내가 누리는 것, 지금 내 옆에 있는 사람들, 그래, 마음이 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명한 아이로 키우는 독서 육아법
멤 폭스 지음, 공경희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속에 길이 있다고 했던가! 책 속에는 길보다는 재미와 흥미가 있다. 새로운 세계에 대한 탐구, 과거로의 여행,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 나의 존재에 대한 자각, 나와 나를 둘러싼 모든 환경에 대한 새로운 시각들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책이다. 책읽기,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 책읽기의 중요성,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그런데 가끔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 주면서 그런 생각을 했다. 내가 지금 제대로 잘 읽어 주고 있는 건가? 잘못된 방법은 아닐까?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은 없을까? 이런 고민을 하다가 찾은 책이다. 제목은 꽤 그럴싸한데 실제 내용은 많지 않다. 책을 소리내어 읽어 주는게 좋다는 것, 그리고 매일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 이런 정도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 나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원칙, 책읽기는 숙제가 아니라 책읽기 자체의 재미와 흥미를 만끽하는 즐거운 놀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뭐든 즐거운 마음으로 해야 효과가 배가 된다. 책읽기도 당연히 예외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나의 결론은 나는 잘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이들과 항상 즐겁게 책을 읽었다. 찾아보면 재미있는 그림책들이 너무 너무 많다. 재미있는 책들을 읽으면서 책 속으로 아이와 함께 여행하는 일, 사랑과 행복을 듬뿍 느낄 수 있는 일,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 - 뱃속 아기를 미소 짓게 해주는 태교명상
베스 윌슨 사베드라 지음, 서영조 옮김, 신현림 감수 / 넥서스BOOKS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뱃속 아기를 미소짓게 하려면 먼저 엄마가 미소 지을 수 있어야 한다. 엄마가 미소 지으려면 즐거운 마음이어야 한다. 임신한 지금, 부어오른 배, 퉁퉁 불은 젖가슴, 새로 산 아이의 배냇 저고리를 보면서 엄마는 진정 마음으로 미소 지을 수 있어야 한다.

 '희망'은 대개는 행복하지만 가끔은 미소 대신 분노와 짜증을 표출해야 하는 임산부에게 점잖게 충고하고 있다. 지금 이 순간을 즐겨라. 여자에게 임신기간이 얼마나 특별한지, 얼마나 행복한지 마음껏 즐겨라.

 그러나 돌이켜 보면 난 그 때 즐거움 보다는 걱정이 더 많았던 것 같다. 아이를 낳으면 어떻게 키우지, 아이를 낳을 때 아프면 어쩌지, 뱃속의 아이에게 무슨 문제가 있으면 어쩌지, 아이를 낳고 나서 몸무게가 줄지 않으면 어쩌지, 아이를 낳고 나서 남편이 하나도 도와 주지 않으면 어쩌지, 아이를 낳고 나서 머리가 나빠지면 어쩌지, 아이를 낳고 나서 영화도, 책도 못 보면 어쩌지, 아이를 낳고 나서 내가 지금 하는 일을 더 이상 할 수 없게 되면 어쩌지, 이 아이가 혹시 아프기라도 하면 어쩌지, 어쩌지, 어쩌지,,,,,

 제목은 분명 희망인데, 그가 하고 있는 이야기는 지금 현재를 충분히 만끽하라! 이라면 모순되는 이야기일까? 그렇지 않다. 현재에 대한 만족, 현재 지금 내가 느끼는 행복감은 미래에 대한 비젼에서 나온다. 아이를 가져서 너무 너무 행복한 이 순간은 아이와 함께 할 아름다운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부터 나온다. 그렇다. 아이를 낳아 기른다는 건 괴로움은 잠시, 너무나 큰 기쁨과 행복을 가져다 준다. 그래서 임신기간은 내내 행복해야 한다. 반드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