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까지나 너를 사랑해 언제까지나 너를 사랑해
로버트 먼치 글, 안토니 루이스 그림, 김숙 옮김 / 북뱅크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식이 부모를 속상하게 하면 대부분의 부모들이 하는 말이 있다. "너도 꼭 너 같은 자식 낳아 봐라. 내 맘을 알테니..." 왜 세상의 많은 일들이 경험하지 않고는 절대 모를까. 가끔은 경험해야만 아는 인간의 미욱함이 안타깝기는 해도 지금 곰곰히 생각해 보면 그게 또 인생을 공평하게 만드는 유일한 방법인것 같기도 하다. 경험하지 않고 말로만 듣고 모두들 진리를 알고 실천할 수 있다면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좋아질테고 그럼 앞서 태어난 사람들은 너무나 억울할테니 말이다.

 부모의 자식 사랑. 우리는 모두 부모의 사랑을 받고 자라면서도 그걸 모른다. 부모가 되기 전까지는 부모가 얼마나 자식을 사랑하는지 말이다. 철들면서 이성의 사랑을 갈구하면서 우리는 그것이 엄청나게 대단한 사랑이라고 느낀다. 물론 엄청나게 대단하다. 하지만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처럼 끊임없이 줄기차게 솟아나진 않는다.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 그것은 마르지 않는 샘이다.

 이 책을 읽고 눈물 짓는 이유, 그것은 나의 부모를 생각하기 때문이요, 나의 자식을 생각하기 때문이다. 부모에 대한 사랑, 자식에 대한 사랑, 그것이 눈물 나는 이유는 그 사랑에는 고난과 인내가 함께 하기 때문이다. 부모는 자식을 위해 어려움을 참고 인내하고 희생하고 헌신한다. 자식들은 그런 부모의 사랑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왜 당연할까? 정말 당연한 걸까? 당연하다. 부모의 마음에는 자식에 대한 사랑이 마르지 않고 솟아난다. 그러나 부모가 자식을 사랑한다고 항상 자식의 말을 모두 들어주고 자식에게 쩔쩔매면서 살아야 하는 건 아니다. 사랑을 잘못 표현한 사람들은 늙고 힘이 없을때 자식에게 전화걸어 와 달라고 하면 그 자식은 한걸음에 달려와 자신이 들었던 자장가를 들려주는 대신 바쁘다는 말 한마다 남기고 전화를 딸칵 끊어 버릴 것이다. 그 딸칵 하는 소리가 엄마의 심장에 연결된 핏줄이 끊어지는 소리인줄도 모르고 말이다. 사랑은 하는데 그 사랑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 그것 역시 부모가 풀어야 할 숙제다. 무엇이 자식과 나의 행복을 추구하는 길인지. 물론 가장 중요한 건 사랑한다는 것, 그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