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2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개가 있는 따뜻한 골목
김기찬 지음 / 중학당 / 2000년 3월
평점 :
품절


불교 신자는 아니지만 불가에서 건네주는 이런 저런 이야기가 가슴에 와닿는다. 가령 불가에서는 개가 사람으로 환생하기 직전 단계라고 말한단다. 그래서 동물들 중 가장 불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집이나 절에서 개를 키우면 귀신을 보거나 쫓는다고도 한다.

정말 그런지 어떤지는 몰라도 사람과 가장 가까이 사는 가축인 개에게서 '인격'과 닮은 어떤 '격'을 발견하는 일이 더러 있다. 예전에 집에서 키우던 개에게서 무심한듯, 그러나 자기 세계에 깊이 빠져 무언가 생각하는 듯한, 노인네들에게서 발견되는 상념의 공동(空洞) 현상 비슷한 것을 보곤 했다. 그럴 때 개의 눈을 들여다 보며 마음 속으로 넌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니, 하고 물어보면 환각처럼 그 개의 전생 몇 겹이 스쳐지나가는 듯한 착각이 일곤 했던가. 아니면 오래 전에 가신 친할머니의 모습을 보는 듯도 하고. 가령 젊은 날처럼 술 마시고 늦은 귀가를 하시는 아버지의 새벽길에 기다렸다는 듯 주둥이로 뒷꿈치를 쿡쿡 치는 모습은 힘은 없어 크게 야단치지는 못하시되 마음으로 한껏 안타까이 늦게 귀가한 젊은 아들에게 푸념하시던 생전의 할머니 모습이 있었다.

그리고. 윤회를 믿는다. 착하게 살면 다른 생을 살 수 있으리란 믿음. 하지만 그건 잘 모르겠다. 과거로는 환생할 수 없는 것인지. 벌써 어린 시절이 그리운 나이가 되었나 보다. 특히나 툭툭 불거지는 네모난 보도블럭이 깔린 한옥집 골목들. 남의 집 담장 밑에 쭈그려 앉아 친구랑 수다를 떨면 어떤 '미는' 창문이 열리며 저리 가서 얘기해라, 지금 시험공부 한다, 던 어떤 자취생의 목소리가 있던, 시멘트 바른 마당이나마 너른 마당에 하숙이든 자취든 월세든 거기 사는 이들이 다 한 마당을 향해 문들을 놓은 집들. 허름한 산동네에 산던 친구네. 그 언덕받이로 내려오면 해질녁의 나를 배웅하고 내일 또 놀러오라던 어린 친구. 이상하게도 흑백의 시대였던 그때로 환생할 수는 없는지.

하지만 이 책을 들여다 보면서 가끔씩 그때로 돌아간다. 사는 사람들하고 꼭 닮은 어수룩하고 피곤한, 그러나 착한 얼굴을 하고 있는 개들, 차가 도저히 들어갈 수 없는 막다른 골목에 돗자리를 펴고 담에 기대 앉아 책을 읽고 숙제를 하는 아이들 가랑이 사이에서 졸고 있는 똥강아지. 비참이나 누추를 넘어선 마음의 너른 공간, 산동네서만 보이던 걸릴 것 없는 하늘이 이 책 속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는 파업중 - 5학년 2학기 읽기 수록도서 책읽는 가족 22
김희숙 지음, 박지영 그림 / 푸른책들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른 저녁을 먹고 뒹굴거리며 아들이 읽다 둔 이 책을 읽었다. 앞뒤를 살피지 않고 읽으며 이 글을 쓴 이가 무슨 활동을 하거나 교사였거나 장애아를 둔 엄마이거나 한 게 아닐까 생각했다. 그만큼 책은 일관되게 장애아나 소애받는 아이들을 다루고 있거나 표제작처럼 여성문제를 다루고 있거나 했으니까. 말하자면 요즘 어린이 책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문제의식이 있다고나 할까.

물론 환경문제나 장애와 인권, 여성, 역사 등의 주제를 담고 있는 책들이 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이 책만큼 정면으로 다루고 있는 것이 많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그것이 이 책의 강점이기도 하고 바로 단점이 될 수도 있겠다. 어쩌면 꼭 아이 맘에서 썼다고 하기에는 좀 작위적인 면으로 다가오기도 하고.

하지만 장애아들에 대해 생각하게 하고 그 아픔이나 그걸 바라보고 있는 사람들(엄마, 동생, 친구들)의 가슴아픔이 느껴지게 쓰인 것으로 보아 글쓴이가 머리로만 글을 쓰는 사람이 아닌 것은 확실한 것 같다. 나중에 알고 보니 그는 현장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이다. 내가 보기엔 마음의 깊은 눈을 가진 교사이고 어머니이고 사랑을 아는 사람이다.

정작 나를 눈물짓게 했던 이야기는, 반에서 산만하기 그지없는 남자아이를 바라보는 학부모의 그 아이를 야단치지 않는 선생님을 바라보며 답답해 하는 이야기였다. 수업을 마치고 집에 돌려보낼 때 선생님은 아이들 하나하나를 안아주며 작으나마 칭찬을 해준다. 이 글 속의 화자는 그 말썽꾸러기, 칭찬할 것 하나 없는 아이에게 선생님이 뭐라 칭찬을 할 것인지를 궁금해 한다. 나도 궁금했다. 나 역시 현장에서 들고뛰는 중학교 1학년 짜리 남자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이며 말썽꾸러기들을 상처주지 않으면서 잘 다독이는 문제를 고민하는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선생님은 그 아이를 안아주며 이렇게 말한다. '너를 사랑해'.

이 글을 쓰는 지금도 '너를 사랑해'라고 쓰는 순간 눈물이 핑 돈다. 이 맘을 다 알까. 아이들이 아무리 말썽을 피워도 너를 사랑해, 라고 말하고 싶은 마음을. 그렇게 말할 수 있는 용기를, 그렇게 말해주지 못하고 돌려보낸 후의 후회를...

하지만 내가 아들에게 읽어보라고 펼쳐준 부분은 '날개달린 소년'이란 글이었다. (아들은 초등학교 3학년이다.) '한별아, 너희 반에는 몸 불편하고 그런 친구 없니?' 그랬더니 하나 있단다. 자긴 그 친구를 놀리지 않는데 놀리는 아이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애가 어울려 놀고 그러지 않아서 자기도 놀아주진 않는단다. 그런 대화 끝에 내가 건넨 그 부분을 다 읽고 아들은 조금 울었다. 주인공 유진이가 너무 불쌍하다고, 뭐 그런다고 죽냐, 이러면서 혼자 중얼거리며 눈물을 흘리는 것이었다.

그러다가 며칠 전 본 EBS의 뼈 기형아 이야기도 했고 라디오에서 들은 소아마비 아저씨가 자기랑 잘 놀아주었던 초등학교때 친구를 보고 싶어하는 이야기도 했다. 그랬더니 아들은 이런 이야기를 한다.

'엄마, 내가 귀가 좀 이상하게 생겼잖아. 그래서 가끔 친구들이 놀려. 우리 반에 코가 이상한 애가 있는데 내가 한 번 놀린 적이 있어.'

'한별, 몸이 좀 불편하거나 이상하게 생긴 친구가 있으면,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말고 아, 참, 난 귀가 이상하게 생겼지, 라고 생각해. 넌 똑똑하고 건강하지만 너에게도 약점이 있는 것처럼 누구나 어딘가 약점이 있는거니깐.'

'그래, 나도 그 생각을 했어. 그 친구 코를 놀리고 나서 앗, 얘가 내 귀를 놀리면 어떡하나, 그런 생각. 난 친구들 안 놀려'

그러더니 '날개달린 소년'을 가지고 독후감을 썼다. 어쩌면 조금 거친 밥이었을지는 모른다. 하지만 나와 내 아들을 울린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2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