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즐거운 지식 - 책의 바다를 항해하는 187편의 지식 오디세이
고명섭 지음 / 사계절 / 2011년 3월
평점 :
내 책장에는 ‘힐링 코너’가 따로 있다. 다시 읽을 필요는 없지만 가끔 뒤적이는 보물들.
어린 시절 나에게는 다락방에 올라가 읽곤 하던 힐링 책이 있었다. 제목도 기억나지 않지만 엄청나게 두꺼운 과학만화였다. 우울감과 공황에 시달렸던 열 살 무렵의 나는 정체를 알지 못하게 공허감이 밀려올 때면 다락방에 가서 그 과학만화를 읽었다. 태풍을 귀엽게 의인화하고 천체의 질서에 대해 알려주던 그 만화는 이 넓은 세상, 지구, 우주를 작고 귀엽고 다정하게 만들어 품게 해주었다. 삶의 끝에 죽음이 있다면 도대체 왜 태어나고 살아가야 하는 걸까, 허무한 질문이 내 안에서 스멀스멀 올라오던 열 몇 살 즈음의 나를 치유해 준 것은 책들이었다.
이 <즐거운 지식>은 도서관에서 빌린 책이라 ‘소장용’ 힐링책이 되진 못했지만 다른 책을 읽다가 틈틈이 읽으면서 기운을 얻곤 했다. 딱딱한 인문사회과학 서평집이 무슨 위로가 되냐고? 머리 아프지 않냐고? 일단 고명섭은 아무리 어려운 철학도 어렵지 않게 쓰는 재주가 있는 필자이다. 그리고 나는 이 두꺼운 책을 순서대로 공부하듯 읽지 않고 내가 아는 철학자, 내가 읽은 책, 관심 있는 영역을 그때그때 ‘땡기는 대로’ 골라 읽었다.
이 책은 오디세우스를 바로 그런 ‘앎에 대한 모든 것, 열망과 용기를 지닌 사람으로 본다,
세이렌 이야기는 목숨을 걷어갈 만큼 강렬한 유혹, 즉 '앎의 유혹'으로 해석한다. 하지만 나는 이것을 저자인 고명섭의 자기고백이라고 보았다. 같은 인생을 사는데 그는 도대체 얼마나 많은 책을 읽고, 그것을 바탕으로 또 얼마나 많은 책을 쓰고 있는가. 어쩌면 저자는 빨려드는 독서에 공포를 느끼면서, 거기에 난파하지 않으려 책을 쓰는 일로 몸부림을 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다.
<계몽의 변증법> 저자들은 앎과 삶 사이에서 난파당할 위험을 뚫고 '자아'가 등장한다고 말한다. 오디세우스는 그렇게 주체로서 자신을 일으켜 세운 사람(이 유혹을 겪은 주인공은 고통을 통해 성숙한다. 그가 견뎌내야 했던 다양한 죽음의 위기를 통해 자신의 '삶의 통일성', '인격의 동일성'이 확고해진다-계몽의 변증법 중에서)이라고 해석했단다. 오디세우스 이야기가 주는 교훈은 삶이 풍요로워지지 않는다면 앎의 욕구는 자기 자신의 존재를 갉아먹는 탐욕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란다. 어린 시절 읽고 지나친 오디세우스 이야기를 이렇게 해석할 수도 있다니. 스스로 지적 바다에서 호흡곤란을 느낀 사람들의 시선이리라.
지젝을 다룬 부분은 흥미로웠다. 붙어 있는 제목이 ’지젝 - 혁명을 연기하는 배우‘다. 한겨레에 가끔 기고되는 그의 글을 읽을 때마다 내가 느꼈던 바로 그것을 정확히 지적한 느낌이다. 이 사람은 어째서 이렇게 유명한 거지? 그런데 아무리 읽고 이해하려 애써도 뭔가 알맹이를 못 느끼겠는 이 느낌은 뭐지, 싶은...
지젝에 대한 책 <지젝>을 쓴 저자(영국 정신분석학자 이안 파커)가 보기엔 지젝은 ’세계를 해석하기만 할 뿐 세계를 바꾼다는 생각은 하지 못하는, 실천적 무기력 증상을 내장한 자의 자기방어일 뿐‘이라는데 그 해석을 보니 그동안 내가 왜 그런 느낌을 받았었는지 알 것 같았다.
그 외에도 나에게 매우 특별했던 가라타니 고진, 랑시에르의 책들, 이름은 들어보았으나 원작을 읽지 못했던 알튀세르나 칸트에 대한 엿봄, 하도 많이 언급되어 읽은 적 없음에도 다 알고 있는 듯한 플라톤, 그 대신 열심히 탐구했던 아리스토텔레스, 말 그대로 문제적 인간들, 특히 철학자들, 철학적 인간들이 책으로 대거 등장한다. 한 편의 글들이 엄청 길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겉핥기라는 느낌이 들지도 않는다. 이 책을 읽고 나서 <계몽의 변증법>을 다음 독서 목표로 삼은 것은 또 하나의 성과이기도 하다. 그리고, 나는 앞으로도 계속 고명섭의 책을 읽을 것이다. 이렇게 과제를 던져주는 책은 참으로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