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뿌리
김중미 지음 / 검둥소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아마도 나와 비슷한 시기 혹은 조금 이전에 어린 시절을 보냈을 법한 작가의 정서는 매우매우 친근하게 느껴진다. 아니, 헷갈리면 안되겠구나, 작가가 아니라 서술자.

어쨌든 '나'가 인천 어느 동네에서 어린 시절 자기가 살던 동두천의 비슷한 냄새를 감지하고 영혼을 넋을 풀어놓을 때의 기분을 나는 알 것만 같았다. 답십리 부근을 지날 때나 삼척시의 정라진 부근 마을을 거닐 때 느끼는 가슴 턱 막히는 이상한 정감과 슬픔 같고 전생 같은 추억.

사라져 버린 70년대의 어린 시절이 문제가 아니다.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내가 그립고도 시린 추억은 답십리의 야학과 삼척의 초임교사 시절의 자취방이겠지만,  어쩌면 매우 개인적이거나, 역사적이라 할지라도 조금은 빗겨 있는 무엇일 수도 있겠지만, '거대한 뿌리'가 말하는 그 쌉싸름한 정겨움은 조금 그 깊이가 다르다.

동두천은 어떤 이름인가. 대학시절, 자기 누나가 양공주라고 술자리마다 눈물바람을 하던 어떤 선배의 넋두리가 생각난다. 양공주라는 이름은 슬프고 더러운 그 무엇이었다.  기지촌 이야기를 리얼하게, 어른들의 삶으로 치열하게, 추저분할 정도로 적나라하게, 그렇게 그린 소설이 없진 않았을 것이다. 한국이 분단과, 미국과의 관계에서 입었던 상처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한 작품들도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다르다.

읽으면서 나는 청소년 소설이기에 약간의 의무감으로 읽기 시작했다고 생각했던 나의 첫생각을 버렸다. 나는 어느 새 비슷한 시기의 정서는 같고 경험은 다른 나의 유년과 청소년기로 젖어 들었고 거기서 약간 정신을 차렸을 때에는 사춘기인 내 아들에게 이 글을 읽히는 상상을 했다. 학교의 아이들과 어떻게 읽고 이야기를 나눌까를 생각했다. 어쩌면 그들에게 이 책을 읽으라고 권하는 일이 신나는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재미를 떠나 그들은 이 이야기의 울림에 어떤 공감대를 가질지 조심스럽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래서 더더욱 이 책을 권해야 한다. 이 책이 아니고 우리의 10대들과 미군의 주둔과 그것으로 인해 삶이 좌우된 사람들(심지어는 서술자처럼 직접적 영향을 받지 않은 관찰자의 인생에까지 말이다)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책이 어디 있는가 말이다.

김중미의 글이 가지고 있는 매력이 이런 것이구나 알겠다. 괭이부리말 아이들을 읽지 않았는데 왜 베스트셀러가 되었는지 알겠다. 쉽고 재밌다. 너무 쉽게 술술 읽힌다 싶을 만큼. 기지촌 사람들의 삶과 아픔이 오늘 날의 이주노동자와 아픈 사랑을 나누는 '정아' 이야기로 올 때 그것은 너무나 자연스럽게 우리에게 시대적 문제제기가 된다.  무거운 과제를 쉬운 이야기로 이끌어내는 것, 그것이 시대의 작가의 임무라면 김중미가 그것을 제대로 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