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쿠와 우키요에, 그리고 에도 시절 - Art 020
마쓰오 바쇼 외 지음, 가츠시카 호쿠사이 외 그림, 김향 옮기고 엮음 / 다빈치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하이쿠를 본격적으로 읽어봐야겠다고 늘 생각해 오다가 이 책을 구입했다. 사실은 시를 보려 했던 것인데 그림책을 산 느낌이랄까.

일어는 글자조차 모르는 입장이라 몇몇 한자를 빼고는 번역이 제대로 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그렇다 하더라도 어차피 외국 시는 그 감성을 100% 받아들이기는 어려운 것이리라. 그래도 이건 아니다. 나도 짧고 진한(?) 시들을 좋아한다. 단 한 줄이 아니라 한 귀절만을 위해서 그 시집을 사버린 기억도 많다. 그러나 이 시집에서는 그런 단 한줄을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그게, 번역의 문제인지 정서의 차이인지를 아직 잘 모르겠다는 것이다.

내가 감탄한 건 시와 적절하게 어우러지는 그림들이었다. 바로 그 시를 위해 그린 그림들은 아니었을 듯한데 그렇게 시의 분위기와 비슷한 그림들을 잘 찾아냈을까 말이다. 그리고 그림들은, 인상파 화가들의 영감에 불꽃을 튀겨줄만큼 감각적이다. 지금의 일본이 애니메이션의 왕국으로서 상업적으로뿐 아니라 예술적으로도 성공하게 된 바탕이 여기 있지 않을까 싶을 정도다. 예술적으로 뛰어난 그림들이다, 라는 면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회화(특히 동양화의 점잖으리만치의 절제감)의 공식을 비교적 자유롭게 넘어선다는 느낌이 드는데 중국에서 멀어서(지리적으로가 아니라 통제나 영향력이라는 면에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일본인들 특유의 분방함이 거기 배어있는 듯도 싶다.

에도 시절 혹은 그 이후의 회화가 얼마나 많이 그려지고 남겨져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우리 조선시대 회화보다 다양하고 양적으로 풍부한 느낌이 드는 것은 시와의 조화에서 받은 느낌이다. 그 느낌이  맞다면 어디서 오는 차이일까 하는 생각이 또 든다. 일본 여행을 갈 때마다 내가 가장 부러운 것은 깨끗한 거리, 질서있고 친절한 사람들, 경제적인 성취가 아니라 아직도 곳곳에 (심지어 동경 뒷골목에까지) 남아있는 오래된 전통가옥들이었다.  저희들은 임진왜란때와 일제식민지 시절에 우리 땅에 들어와 수많은 유적을 파괴하고 가져가 놓고 운좋게도 저희것은 잘 지키고 있구나... 우리가 전통을 소홀히해서가 아니라 파괴 '당'하고 약탈'당'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일본의 회화는 단 느낌이 난다. 화과자와 같은 감성. 금방 애정을 느끼게 하는 매력이 있다. 그림 선들도 에도시대라 하는데도 매우 모던하다. 색채감도 그러하다. 불과 얼마 전에 그린 듯 선명한 저 색들의 비밀은 무엇인가 싶기도 하다. 비슷한 시기에 그려진 우리 회화들은 원 채색의 빛이 살짝 바래져 있기 일쑤인데...  내가 서양인이라도 금방 혹할 수 있는 매력이 있을 듯하다. 그런데 왜 일까, 내가 우리 옛 회화를 볼 때마다 느끼는 그 기분, 조금 심심한 듯 하고 너무 고요한 듯하나 깊은 정신 세계로 들어가 명상에 빠지듯한 그 기분은, 일본인들도 일본의 회화를 사랑하는 서양인들도 그 맛을 잘 알지는 못할 거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