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ㅣ 나의 고전 읽기 9
김슬옹 지음, 신준식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7월
평점 :
다른 리뷰들을 읽어보니, 우리 한글이 얼마나 훌륭한지, 세종대왕이 얼마나 위대한지를 새삼 깨달았다는 내용이 많다. 나는 이 '28자로 이룬 문자혁명..'이란 책이 잘 쓰여진 책임을 말하고 싶다.
나는 중학교에서 20년 동안 국어를 가르쳐왔다. 작년에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사 자격을 획득했다. 안팎으로 더도덜도 없이 한국어 선생인 내게 이 책은 참 소중한 책이다. 아니, 20년 동안 가르치면서 한글과 한국어에 대해 알만큼 알지 않나요, 라고 묻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은 나와 같은 사람이야말로 더 깊이있게 공부를 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중고등학교에서나 초중급 정도의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가 꼭 읽어야 할 책이다. 학술적이고 연구 위주의 성과물이라기보다 교양학문 정도의 수준이다. 그것은 필자인 김슬옹 선생이 청소년도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쓰고 싶어 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나는, 깊이 있고 심오하고 아주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책보다 괌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소화할 수 있도록 쉽게 쓰여진 책이 정말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분야나 목적에 따라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겠지만 현학적이거나 어렵게 쓰여진 책이라고 좋은 책은 아니라는 것의 또다른 표현이다. 저자는 자신이 한글을 잘 연구한 학자이자 강단에서 실천적으로 훈민정음을 가르친 사람답게 군더더기도 없이 적확하면서도 진정성이 가득 담기게 글을 잘 썼다.
이 책에 있는 내용들이 대체로 알고 있는 내용이었다 하더라도 - 가령 훈민정음이 아주 과학적으로 만든 문자라는 것- 그것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정리하느냐의 문제를 명쾌하게 해결해 준다. 이 책을 따라가다 보면 그래픽으로서의 한글의 문자 미학과 조형의 과학성, 거기 담긴 우주와 자연과 인간의 상생성까지 한글의 완벽함에 감탄하게 된다. 보석을 품에 안고도 그것을 모르고 있거나 내치고 있는 어리석은 사람이 바로 오늘날의 우리들이란 생각이 든다. 한글의 과학성은 훈민정음 제자해에 이미 밝혀졌지만 현대에 와서 거꾸로 창제와 전파의 과정을 거스르면서 마치 비밀한 암호를 풀어가듯 흥미진진하게 밝혀졌다. 내가 교단에서 아이들에게 한글의 우수성을 가르칠 때 이와같은 흥미진진함을 그대로 옮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실제로 관련 내용을 가르칠 수 있는 시간은 그리 충분하지 않아서 한두 시간 정도에 걸쳐 한글 생성원리와 조음원리를 설명하면 그 부족한 시간에도 아이들은 매우 놀라워하고 흥미있어 한다. 최근에는 휴대폰의 자판과 연결지어 그런 흥미를 더욱 북돋울 수 있다. 나를 포함한 이 땅의 한국어 선생들이 부디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이 그 완벽함과 논리정연한 과학성 때문에 감탄했듯이 우리 아이들(학생들)도 한글의 아름다움에 빨려들어가게 잘 가르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전공자나 관련된 사람이 아닌 경우 한글의 우수성과 애정을 논하면 '오바하는 거 아닌가' 하는 반응을 보인다. 또는 뭐 그런지는 몰라도 난 관심없이, 이런 태도인 경우가 많다. 한글이 너무 우수하고 세종대왕이 너무 위대하고 우리 민족이 뛰어나고... 이런 논리를 펴고 싶은 마음은 없다. 우수하면 우수한 대로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거기서 더도덜도 갈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소수밖에 안 돼 보이는 (한)국어 관련된 사람들이 입에 거품을 무는 것은 또 그만큼의 이유가 있다. 과장할 건 없지만 폄하해서도 안 되며 갖고 있는 가치가 묻혀서도 안 되는데 여지껏 한글은 제대로 평가받지도 못했다. 아니 그 글자를 쓰는 주인인 한국인들에게 제대로 제 모습을 드러내 본 적조차 없다. 그래서 그 소수의 사람들은 거품을 물고 목이 갈라져라 외치는 것이다. 한글을 공부한 사람들에게 그 과정은 거의 투쟁이요 운동이나 다름없다.
이 책이 청소년이 읽기엔 쉽지 않다 하더라도 대학에서 교양으로나마 많이많이 읽혔으면 하는 심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