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겔루스 노부스 진중권 미학 에세이 2
진중권 지음 / 아웃사이더 / 200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앙겔루스 노부스 - 그 근대적인 절망적인 무력한 천사의 모습. 한없이 고매한 영혼을 지녔으며 지적으로 성숙하고 감성적이기까지 하나 어딘가 멜랑꼴리한 그 천사, 머리가 유난히 큰 그 천사의 모습... 그 순하디 순한 모습에 우리의 독설가 진중권의 모습이 겹쳐지는 이유가 뭘까...

그는 팔팔하고 독설적이고 그리 비감해 보이지 않는데도 유순하기 짝이 없고 오히려 아름다움에서 멀어 보이는 이 천사의 모습이 진중권을 닮았다는 생각이 드는 건 혹시 몸이나 날개에 비해 큰 그 머리 때문이 아닌지...

이런 말들이 저자를 비웃는 말처럼 들릴 것 같지만 사실 진중권은 내가 좋아하는 작가 중 하나이다. 그의 미덕은, 남들이 폼잡고 강단에서나 나불거리려 하는 '미학'을 거품 빼고 사람들한테 낮은 상에 먹음직하게 차려 주었다는 것. 미학 오딧세이를 읽으면서 그 전 숱한 미학 어쩌구 하는 개론서들에게서 느꼈던 배신감, 자괴감 들에게 통쾌하게 엿먹였던 기억이 난다.

그의 쉬운 미학은 열심히 모순들과 맞서려 드는 그의 열성과 맞물려 하나의 모델이 된다. 주류를 형성하진 않지만 그런 모습이 어떤 역할을 하고 영향을 주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뭐랄까, 미학 오딧세이가 대학 시절 입맛과 영양에 딱 맞았던 너무 맛난 기억 때문일까 아니면 그새 또 내 머릿속에 어설픈 미학 어쩌구 들이 들어와 입맛이 나름대로 다양해져서 그런가, 아니면(이것이 진실이 아닐까?) 그가 마감에 쫓기거나 글을 빨리 쓸 욕심에 이전에 생각해 둔 혹은 메모해 둔 이러저러한 생각거리들을 모양이 되는대로 주제별로 엮어 썼기 때문일까(그가 아니라고, 책 읽은 당신이 내가 한 소릴 알아듣고 정리할 기본교양이 안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여 준다면 뭐 그냥 받아들이지 뭐), 그의 글들은 도대체 어떤 줄기를 가지고 모아지고 엮어졌는지 알 수가 없었다. 시대 순인가? 그 중 언급할(하고 싶은) 주제들을 모아 보았나?.... 내가 보기엔 신들린 듯 공부하던 시절에 그의 머릿 속에 떠오르던 수많은 의문과 정리된 바들의 집약이 아닌지.... 그림들, 그리고 양장본의 특이한 판형... 들고다니면 폼나는 이 책, 게다가 제목도 제대로 읽어보지 않으면 뭔 뜻인지 알 수 없는 '앙겔루스 노부스'....

나는 그림 보는 재미로 끝까지 읽었다. 물론 디오게네스 이야기는 참 재미있었다. 역시 진중권 말빨은 참 '쥑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