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선생님이 좋아요
하이타니 겐지로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 양철북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교육이란 씨앗을 심는 일과도 비슷한데 그 씨앗은 1년만에 싹트고 꽃피지는 않는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게 되었다. 내 품에 있을 때 별 변화를 보이지 않던 아이들이 사실은 그 안에 공부하는 습관, 책읽기의 즐거움, 남을 배려하는 마음, 위기 상황에 여유있게 대처하는 자세 따위의 씨앗을 품고 내품을 떠난 후 그렇게 잘 자라는 모습을 보는 것, 그것이 교육자로서 나의 기쁨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고다니나 하다치 선생이 훌륭한 것은 6개월만에 부적응아를 읽고 쓰게 만들었다거나 학부모들의 지지를 얻어냈다거나 아이들의 사랑을 받았다거나 하는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고다니 선생의 사랑과 지도를 받은 데쓰조가 그렇게 잘 변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다음 해나 어쩌면 더더더 이후에라도 고다니 선생의 사랑을 바탕을 잘 커나갔으리라 믿는다. 고다니 선생님은, 내가 이 아이를 변화시키고야 말리라, 목표를 세워 싸우듯이 덤벼들지 않았다. 그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징그럽고 더러워 싫어했던 파리에 관심을 가졌고 몸을 낮춰 그 아이의 집에 가서 밥을 나눠 먹었다. 할아버지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훌륭한 선생님이 되는 일은 어렵다. 과연 훌륭한 선생님이 될 필요가 있을까 의문이 들기도 한다. '훌륭한' 이란 수식어가 능력에 해당하는 말이라면 말이다. 나는 '좋은' 선생님이 되고 싶다. 아이들을 행복하게 해주는 교사 말이다. 그 아이들의 문제와 아픔을 모두다 해결해 주거나 껴안아 줄 수는 결코 없다. 그런 과욕을 부릴 생각도 없다. 아프면 아픈 대로 문제해결은 아이들의 몫이더라도 나는 그 아이들이 학교에 왔을 때 적어도 우리 교실에서만은 부당하게 대우받고 나로부터 소외되고 외로움을 느끼지 않게 하고 싶다.

그래서 안정된 마음으로 학교를 다니면서 책읽기의 즐거움을 알고 공부도 재밌다는 것을 알게 되어 몇년쯤 지난 후 자기도 모르게 늘 책을 읽고 스스로 공부하는 사람이 되어있는 자신을 발견했을 때, 이미 중학교 몇학년 때 담임 이름쯤은 잊을 법도 한 세월을 맞이하면서 잘 커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