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 1 리처드 파인만 시리즈 4
리처드 파인만 지음, 김희봉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이 책을 읽은 동기. 아이들의 과학독후감을 읽다가 한 아이가, 도서관 담당 선생님의 추천을 받아 이 책을 읽었는데 재밌더라, 고 쓴 걸 읽고 조금 마음이 쏠렸다. 알라딘 리뷰를 읽으며 긴가민가 하다가, 전에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읽고 무척 기뻤던 기억을 되살리며 과감히 과학관련 책을 사기로 했다!(과학콘서트도 샀다. 아직 안 읽었지만)

이 책을 읽는 도중 아이들과 수련회를 갔는데 숙소에서 이 책을 읽고 있는 모습을 본 동료들이, 아 그거, 도서관 담당 아무개 선생이 좋다고 한 책이잖아 ,어때? 라고 묻길래 나, 이렇게 말했다. '허접 쓰레기같은 책이야'


오늘, 그에게 물었다. (이미 이 책을 다 읽은 내가)  'ㅂ선생, 이 책을 왜 애들에게 권했어?' 그의 대답. '아, 세상엔 그런 황당한 책도 있다고 말이지~' 이럴 수가! 그의 말인즉슨, 세상에 이렇게 특이하고 이렇게 의식없는 인간도 있을 수 있다는 얘기를 책소개 시간에 잠깐 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 선생은 파인만이 원자폭탄 제조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조금도 문제의식을 갖지 않은 아주 특이한 인간임을 언급했다고도 했다. 그런데 듣는 사람들은 그런 '요점'을 비껴 이 책이 매우 읽을 만한 것으로 받아들였다니 참 해석불가능한 부분이다.

요점정리.
이 책, 시간이 많이 남아서 세상에 얼마나 다양한 인간군이 있는가가 궁금한 사람이라면, 읽어라. 그러나, 세상 모든 일은 하다 못해 작은 들풀 하나 피는 일들도 피눈물 나는 일임을 아는 사람들은, 읽지 마라, 열받는다. 단, 이상심리학 숙제 '영화 속의 이상심리'를 위해 뷰티풀 마인드를 본 내가 리포트를 위해 그 주인공 존 내쉬와 이 책의 주인공 리처드 파인만을 비교할 수 있었던 것은 조금 고마운 일이므로 별점은 하나 더 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G-1 2004-03-27 00:0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 서평은 저자가 원자폭탄을 개발했다는 일에만 너무 치우쳐 감정적으로 써있음으로 정말 추천하지 않습니다. 솔직히 이 책이 그의 영웅적인 모험담(?)비슷한 이야기를 많이 모아놓고 흥미롭기는 하지만 그의 인생관 자체를 평가하기에는 부족합니다. 그의 좀더 깊은 내면을 보고싶다면 다른책 예를 들면 '발견하는 즐거움' 같은 책을 읽어야죠. 그리고 그가 원자탄의 개발에 대해 조금도 문제의식을 갖지 않았다는 것은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확대과장 해석된것입니다. '발견하는 즐거움'을 참고하면 그는 2차세계대전에서 나치독일이 원자탄을 먼저 개발했을 때 일어날 일을 우려하여 원자탄 개발에 들어갔다고 합니다. 하지만 독일이 패전한 다음에 2~3년 동안 계속 그 폭탄을 제조했다는 것에 대해서는 파인만도 자신에 대해 후회를 하고있다고 써있습니다. 최근같은 평화로운 때에 원자탄을 개발했다면 모르겠지만 그 때의 시대적 상황을 읽을 줄 알아야죠. 물론 원자탄은 인간이 만든 최악의 물건중 하나이긴 하지만 인간의 역사의 흐름에서 볼 때 최신 과학이 항상 무기의 개발로 이어졌다는 것을 보면 결국 원자탄의 개발은 피할 수 없었다고 봅니다.

yjhg1234 2004-07-10 19: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님은 파인만을 잘 모르시는군요..발견의 즐거움에 보면 원폭에 후회하는 내용이 나오고요..그리고 인생은 즐기라고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님의 서평을 보니 다빈치에 대해선 좋게 평가하셨던데,다빈치와 마키아벨리라는 책을 보셨습니까?
그가 얼마나 전쟁광이고 학살무기를 개발하면서 즐거워했는지를....
개인적으로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사람들은 너무 숭배하고 인정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는 노출증환자입니다..이것은 아마도 그가 사생아였다는 사실에서 비롯되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자신에 대한 확신이 없어 끊임없이 뭔가 눈에 드러나는 것을 내놓으려하는...난 그가 지독한 속물이라 싫어합니다. .아인슈타인이나 미켈란젤로와 대비해보면 분명합니다..아인슈타인평전부터 그에 관해 제대로 쓴 책들을 보시면 아시겠지만,(언론의 쓰레기같은 검증도 안된 사실말고..)그 누구못지 않게 다재다능(실제로 그는 미술,발명,문학등에 뛰어난 재능이 있었습니다)하고 인간적으로 겁쟁이가 아니고 남의 평가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미켈란젤로도 비슷하죠..아무튼 얘기가 빗나갔는데 파인만이란 한 인간을 얼마나 알기에 그렇게 비판하는 지 모르겠군요..단지 이것저것 호기심에 기행을 많이 했다고 의식없는 사람이라 평가하신다면, 저와는 전혀 생각이 다르시군요..저는 인생은 즐기는 거라고 생각하는데,,원폭얘기를 사람들이 많이 지적하는데, 사실 대부분의 사람이 그랬습니다.. 그 시대 적군에게 원폭을 쓰자는 것까지도 반대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습니다...대다수의 군중은 어차피 시대분위기를 거스르지 못하고 또렷이 상황파악을 못하는 겁쟁이들뿐입니다..어느정도 심리적,시대적으로 떨어져 있을 때야 온갖 도덕적인 말을 할 수 있지만...
암튼 그렇게 쉽게 파인만을 단정지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그가 얼마나 성실하고
인간적이었는지도 모르면서 말입니다..학생들을 대하던 태도같은 것을 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