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미의 이름 - 상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10월
평점 :
이 책, 정말 재미있게 읽었다. 추리소설이 주는 재미, 긴박감, 논리적 해법, 이런 것들은 내가 평소에 즐기는 것들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다른 추리소설도 이 정도를 갖출 수 있다면 별로 달갑지 않은 것이라도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들 정도이다. 그러나 내가 이 책에 매혹된 것은 그런 부분은 아니다. 에코가 중세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서 책을 읽으며 도저히 20세기에 쓰여진 책이라 생각되지 않을 만큼 생생하게 중세로 우리를 이끈다.
아, 물론 중세 유럽, 카돌릭, 이것도 나의 관심사가 아니다. 요한묵시록도 내가 성서를 읽을 때 가장 외면하고 싶었던 부분이 아니었던가. 흥미를 느꼈던 부분이 있다면 중세 카돌릭이 아리스토텔레스의 미학에 대해 갖고 있던 관점이다. 그리고 윌리엄이란 사람의 미덕. 종교인으로서뿐 아니라 어니 세기 어느 곳에서나 윌리엄과 같은 인물은 (실존으로서가 아니라 이상으로서) 많은 사람들 가슴 속에 있지 않은가. 그러나 그는 선지자나 현자나 지도자로서 보다는 고뇌하는 인물로 그려졌기에 더 매력있다.
또 하나, 에코의 이 문장력! 이 책이 길고도 길었던 것은 시처럼 아름다운 문장을 오래오래 즐길 수 있었던 축복이었다. 소설도 어찌 이처럼 아름다울 수 있단 말인가!
책을 읽을 때 밑줄도 치지만 중요한 페이지를 접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책을 다 읽은 후 접힌 부분을 펴면 대개는 밑줄도 없다. 연필을 들고 그 페이지를 다시 읽으면서 대체 왜 이 페이지를 접었는지 생각해 본다. 아무 것도 발견되지 안는 곳은 아마도 강도가 떨어지는 어떤 귀절이 있었을 터. 과감히 접힌 곳을 풀어버린다. 어떤 곳은 그 묘사 전체를 갖고 싶은 곳을 수도 있다.
장미의 이름, 특히 하권에 무수히 접힌 자욱을 본다. 아드소가 여자 때문에 흔들리는 '3시과' 부분은 미간에 얼음칼을 들이댄 듯 서늘한 아름다움마저 있다. 그 심리 묘사의 탁월함, 그 신비한 분위기, 갈등... 알 것 같다, 알 것 같다....
물론 에코의 문장이 탁월했겠지만 번역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훌륭한 글들도 오만방자한 오역으로 인해 우리에게 졸문으로, 어렵기만 한 글로 다가오는 일이 얼마나 많은가. 이 책의 아름다움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던 것은 문학적 감각이 뛰어난 번역가 덕분이다. 우리나라는 훌륭한 번역에 대한 평가와 보상에 인색하다. 그 만큼 오역과 날림번역이 많았던 것이 탓일 수도 있겠으나...
나는 책을 읽으면서 번역자가 누구인가 확인하고 그 사람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그 관심으로 그가 많은 번역작이 있고 더러 소설을 쓰기도 하는 사람이란 것을 알았다. 그래서 그의 소설을 찾아 읽기도 했다. 소설이 내 취향은 아니었던 것 같지만 어쨌건 문학을 하는 사람이기에 더 아름다운 번역이 가능했겠구나 생각했던 것은 사실이다. 아니나 다를까 그의 창작품만으로 충분히 성공하고 있지 않은가. 그런 면에서 움베르코 에코도 이윤기씨에게 조금은 빚을 지고 있는 게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