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한 연구 - 상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1
박상륭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박신양이 나온 영화 '유리'를 본 게 언제였나. 지금 생각해보니 그 영화도 나름대로 잘 만들어진 것이, 영화를 보고 난 느낌이 이 책을 읽으며 받은 분위기와 매우 흡사하구나. 박신양을 고른 것도 잘된 캐스팅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소설의 상권 부분을 영화로 만든 그 '유리'는 참 핍진한 상태에서 만들었다는 느낌을 지금도 떨칠 수가 없다. 영화를 보면서는 그것이 이 소설을 영화화한 것임을 몰랐고 구도를 말하는 영화라기보다 젊은 날의 한 생각 많고 마음 속 몸 속이 번잡한 견딜 수 없는 젊은이의 모습 - 일부는 나의, 당신의, 그의 젊은 열정과 궁금과 욕망과 번뇌를 닮은 - 을 그린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제보니 그저 작품을 그대로 옮기려 몸부림을 쳤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말이다. 게다가 박신양은 괜찮았지만 이름을 기억 못하는 촛불중과 수도부 역의 배우들, 그들의 추운 연기는 계산된 것이 아니라면 참 거북했다. 그래서 내 일기장에는 이 영화에 대해 어설픈 사춘기의 뭐 어쩌구 이런 식의 낙서가 적혀 있는 걸로 기억한다.

박상륭의 소설을 어렵다, 어렵다 하는데, 어렵게 쓰여진 것들은 십중 팔구 가짜라고 굳게 믿는 나로서는 철학과에 다니는 제자가 이 책을 사달라 했을 때 사춘기적 지적 허영과 객기에서 못 벗어난 줄 알고 조금 걱정을 했었다. 그 아이가 이 책을 끝까지 다 읽었으리라 믿고 잠시나마 그리 생각했던 것 미안함을 전한다.

솔직히 상권을 읽으면서 긴 시간을 잡아 먹어 가며, 무슨 철학책을 읽는 줄 오해를 받아가며 오래오래 이 책을 품고 다닌 나 스스로가 좀 짜증나기도 했었다. 영화 속 촛불중의 좀 역한 연기 탓에 ~입지, 하는 말투는 견디기 힘들었고 살해와 낮잡한 성이 구도의 길로 '미화'되는 것인지 어떤지 헷갈리기도 했다. 그러나 이 세상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박상륭 식의, 일종의 시 같은(그러니까 말하자면 시적 허용 비슷하군) 그 문체의 아름다움이 죽어 쓰러진 '나'의 주검을 안고 부르는 수도부의 노래에서 극에 달하고, 하염없이 유리를 찾아 헤매이고 유리 안에서 또 찾아 헤매이는 그 황량함의 이미지가 또한 아름답고, 책 한 권에 걸친 피곤하고 황량하기 짝이 없는 헤맴 뒤에 찾은 '읍내'의 현실적 느낌과 풍경이 너무 안온해서 상권 뒤쪽 쯤 가서는 갑자기 재미있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불승으로 등장하지만 예수의 행각을 하며 성경에 대해 설파한다. 그 대목에서는 다시 한번, 처음부터 꼼꼼히 성경을 읽고 싶어졌다. '나'의 설파에 숱한 부분을 공감하기에도 그랬고, 정말 오랜만에 어린 시절 사랑하는 맘으로 읽었던 성경에 대해 이토록 오래 말하는 자리가 있었던가 싶어 향수에도 젖었다.

뭐랄까, 그의 낯선 문체를 어떻게 말해야 할까. 대학 때 한 사랑하는 친구와 너무 다른 어휘를 사용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절망했던 적이 있었다. 같은 단어를 다른 의미로 썼던 그와 나는 결국 부부가 되어 20년에 가까운 세월을 살아오면서 손짓 하나조차 읽어낼 사이가 되었지만, 사랑하는데 전혀 다른 말을 지껄이는 서로를 바라보며 애증이 교차했던 스무살 시절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먹먹하다. 그 때, 비록 내가 이해할 수 없는 언어를 쓰고 있지만 그의 영혼만은 하염없이 사랑스럽다는 생각을 하고 용서했듯이, 박상륭의 이상한 문체는 혹 세상에 보통 사람들이 쉽게 이해해주지 않는 특이한 어법을 가진 사람이 있다 하더라도 그가 가지고 있는 생각의 깊이가 얕아지는 것은 아니며 그의 영혼의 번뇌가 가벼운 것도 아님을, 혹시 이해는 못하더라도 그를 깎아내려서는 안되는 일임을 다시 생각하게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