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바다를 보러 간다 - 북경이야기 1, 전학년문고 3015 ㅣ 베틀북 리딩클럽 17
린하이윈 지음, 관웨이싱 그림, 방철환 옮김 / 베틀북 / 2001년 1월
평점 :
품절
아이들의 책은 쉬워야 한다? 그래서 그림이 단순해도 좀 부족해도 된다? 아이들은 어렵고 복잡한 문학적 은유를 이해하지 못하니 현실적이고 간단한 문장으로 써야한다? 너무 깊은 인생의 의미는 말해줘봐야 이해 못한다?
그런 오해 속에서 우리에게 어린이 책들은 대개가 유치하다. 유아나 저학년에서는 그래도 이쁘고 재미난 책들이 꽤 있어도 고학년으로 올라가면서 아이들에게 읽힐 만한 수준의 책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그래 대개는 정말로 아직은 이해도 되지 않을 세계명작 다이제스트 들이 초등학교 고학년들에게 억지로 읽혀지는 현실이다. 그런데 이 책을 보라. 삽화 하나하나가 작품이라 해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 뛰어나게 아름다울 뿐 아니라 진정한 성장기 소설이라 할만큼 어른들의 이야기를 모르는 채 시치미 떼지도 않고 순진한 척 하지도 않으면서 어린이의 시각으로 바라보고 생각하며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그 문장은 또 얼마나 시적인가. 책의 제목부터가 그랬다. '우리는 바다를 보러 간다' '바다' 소리만 나와도 가슴이 설레이는 내가 이 문장이 가지고 있는 설레임을 놓칠 리 없다. 정작 바다를 보는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미지의 바다, 그것을 보러 가리라는 의지와 설레임, 그것은 어린 날 먼 어떤 곳에 대해 갖고 있는 기대이고 희망이지 않는가. 조금 달뜬 목소리로, 10대 초반기에 세상에 대해 우리도 그렇게 속삭였다.
잉쯔는 어린아이 답게 어리숙한 면도 있지만 때때로 영악하고 벌써 세상으로 발 내딛기 시작할 때라 부모에 대해 조금 심드렁하기도 하고 또 어린애다운 이기심도 있다. 하지만 어려운 사람들에게 따스한 동정심과 분노도 가지고 있다. 이맘 때 어린 아이란 그런 것이다. 착하기만, 어리석기만, 욕심장이이기만 한 아이는 없다.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복함적인 성향과 지향을 어른들은 벌써 잊었다. 그걸 잊어버리지 않아야 린하이윈 같은 글을 쓸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