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축, 음악처럼 듣고 미술처럼 보다
서현 지음 / 효형출판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건축, 음악, 미술, 문학, 그리고 생활. 그것들의 공통점은 공학적이고 나름대로의 체계와 매커니즘이 있다는 것, 그리고 아름다워야 한다는 것이다. 건축과 생활은 비교적 땅에 가깝고 문화적이기 이전에 현실적이어야 한다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각한다. 그러나, 가난한 사람들의 주택에서 무질서한 가운데도 자연스러운 아름다움, 기능적 미학, 삶에 근거한 고졸함이 있어 그 자체로 문화를 만드는 것을 종으로, 횡으로 우리는 확인할 수 있지 않은가. 건축에서 아름다움을 찾는다는 것은 전시관이나 박물관에서 고상한 옷을 차려입고 우아하게 전시물을 바라보는 차원의 것과는 다르다. 아마도 서현씨는 유기체로서의 건축물에서 살아있는 문화적 미학을 찾아내고 싶은 것이었으리라.
우리의 건축물들이 미학적인 면에서 낮은 점수를 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는 아마도 역사적 시대적 척박함이 가장 클 것 같다. 식민의 역사와 무리한 근대화와 경제적 가치가 삶의 최고의 가치가 되었던 경제주의적 가치관, 그것들과 맞물려 우리들을 주눅들고 메마르게 목조였던 독재주의 군사문화... 그래서 문화는 배부르고 가진 자만이 누릴 수 있는 그 무엇이 되어 우리 삶 전반에 부드럽게 총체적으로 녹아내리지 못했다.
한강을 건널 때마다 이 아름다운 한강을 망쳐버린 도시공학에 치를 떤다. 어느 위대한 건축가나 도시계획자가 있어 한순간 이 땅을 살려낼 수 있는 구조는 아니지만 할 수만 있다면 내 아들아, 너를 잘 키워 안목있는 솜씨로 우리 사는 땅을 멋지게 세워보라 하고 싶다.
서현씨의 미덕은 건축물을 공학적으로만 보지 않았고 삶이자 곧 문화이며 아름다움이어야 한다는 것을, 그 당연한 사실을 사람들에게 일깨운 것이다. 또 하나, 그의 그야말로 문학적인 글솜씨, 그리고 사람이든 건물이든 음악이든 미술이든 지긋한 눈으로 그 뒷면을 바라보는 안목이다.
아이들에게 학교에서 집에서 자연스럽게 아름다운 것 밝혀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길러주어야 하겠다. 우리는 받지 못한 그 혜택을 조금이라도 주는 것, 내 미약한 힘으로 할 수 있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