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 ㅣ 접시 위에 놓인 이야기 5
헬렌 니어링 지음, 공경희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안 그래도 원래 채식을 즐겨 했었다. 어렸을 때부터 날야채를 좋아했고. 그러다 결혼을 해 남편 식성을 닮다보니 삼겹살을 일주일에 한 번씩 '즐기는' 사람이 되었다.
고기든 생선이든, 도마 위에 올려놓고 그것을 만지면서, 이것은 가족을 위해 누군가 해야하는 일이라고 끊임없이 자신을 위로하지만 한때 살았던 그것들의 몸을 토막내고 내장을 끄집어내고 눈알을 파내는 일이 참으로 괴롭기 짝이 없었다. 사람이 고기를 먹지 않아도 된다면 이런 일을 하지 않아도 될테지만 나의 아이들이 다른 아이들보다 발육이 덜 되는 일은 어찌해야 할지 답이 안 나왔다.
그러다가 내 주변에 채식을 하는 사람이 하나 나타났다. 그는 '채식주의자'는 아니었고 다만 싫어서 고기를 안 먹는다고 하는데 생활에 전혀 지장이 없어 보인다. 게다가 새로 바뀐 중학교 1학년 국어책에는 법정 스님의 '먹어서 죽는다'라는 수필이 실렸다. 그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채식 관련 사이트들을 뒤져보고 이제는 몸의 요구를 버릴 수 있을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할 무렵, 이 책을 보게 되었다.
헬렌 니어링은 이미 오래 전에 책을 통해 만났었다. 그의 삶의 방식이 내가 살고 싶은 것과 매우 비슷하기에 관심을 갖고 있던 사람이다. '소박한 밥상'을 읽으면서 채식에 대한 신념이 생긴다. 나와 우리 아이들은 저녁 식사를 준비하는 동안 날당근을 한뿌리씩 들고 먹곤 한다. 요즘 내가 즐기는 것은 간장, 식초, 참기름(올리브유), 물을 1:1:1:1를 섞은 것에 마늘 다진 것을 넣은 소스에 양상치나 부추를 찍어 먹는 것이다. 저녁 때 이것을 여러 접시 먹고 약간의 밥을 먹는다. 혹은 좋아하는 술을 마실 때 안주 삼아 먹기도 한다. 아주 산뜻하고 좋은 기분이다.
아직도 나는 고기를 먹는다. 해물과 생선회를 무지 좋아하는데 고기는 어쩌면 언젠가 (조만간) 버릴 수 있을지라도 물고기를 안 먹고 살 수 있을지 자신이 없다. 그러나 최소한 조금이라도 덜 먹으려고 애쓸 수 있다. 나의 건강을 위해서라기보다는 남의 살과 생명을 능욕하는 그 일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물론 아직도 풀지 못하는 답은 많지만.
최근 읽은 책 중에서 내게 확신을 주고 실천으로 이끈 강력한 힘을 가진 책이 바로 '소박한 밥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