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역사 - '공무도하가'에서 '사랑의 발명'까지
신형철 지음 / 난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에 시의 에너지를 가진 사람들이 있다. 어떤 예술적 에너지이든 그것이 예술적으로 발현되려면 찰랑거리다 넘쳐야 하는 기준점이 있다. 신형철에게 그런 시적 에너지가 있다. 아니, 그의 책 곳곳에서 이 사람은 시인이 되었어야 했겠다 싶은 대목을 발견한다. 아마 누구보다 그 자신이 잘 알 것이다. 글에서 그런 말을 하지는 않았지만 (혹시 내가 놓쳤을지도?) 그는 시인이 되고 싶었을 것 같다. 그만큼 그의 표현은 빛나는 지점이 있다. 대신 그는 시와 시인들을 사랑했다. 평론가가 되어 시에 대해 글을 쓴다. 그가 다른 평론가와 다른 점은 평론의 렌즈가 아닌 시인의 렌즈로 시를 본다는 것이다. 말 그대로 시를 분석하기 위해 시를 읽지 않는다. 일단 그 자신 가슴으로 시를 읽고, 누구보다 시인들에 경탄한다. 그리고 자신이 읽은 많은 시들을 가로로 세로로 모아 새로운 시론을 짠다. 그것은 시 한 편을 잘개 쪼개는 작업과 매우 다르다.

 

세상에는 시를 쓴 마음이 있고 그것을 읽는 마음이 있겠지. 시인은 때로 시를 읽는 사람들의 새로운 시선에 스스로도 놀랄 것이다. 그런데 거기 더해 신형철처럼 시인과 같은 마음으로 시를 깊게 고급지게 다시 읽는 사람이 있다면, 시 읽은 다른 이들이 ~ 그렇게도 읽을 수 있겠군깨닫는다. 그것은 시의 또 다른 세상이다. 모든 예술이 그렇긴 하지만 일단 예술가의 손을 떠난 후 작품은 감상하는 이의 몫이 되면서도 그 가는 길에 무수히 많은 예술적 감흥들이 일어난다. 예술의 파생상품이 무수히 발생한다. 평론은 일종의 그 파생된 예술품이랄까. 신형철은 이미 그 자신의 평론으로써 또 하나의 예술적 지평을 구축했다. 시를 읽는 것보다 더 재미있는, 때로는 시보다 더 아프고 더 아름다운 평론이라니....

 

시를 좋아한다고 해도, 음악을 좀 듣는다고 해도, 그 넓디 넓은 영역들의 접점을 찾기는 어렵다, 하지만 신형철의 책을 읽으면서 마음을 놓는다. 내가 읽는 시들이 아주 별나라의 것들은 아니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특히, 최승자를 걱정하는 마음을 읽을 때 나는 그가 나와 같은 시대, 같은 정서, 같은 정신적 세계를 살고 있구나, 하고 조금은 기뻤다.

내가 가장 핍진할 때 만났던 최승자의 시. 어쩌면 교과서에서 배웠던 좋은 시의 기준과는 너무나 달랐던 그의 시, 명성 따위를 모르고 읽고, 마음에 담았던 그의 시. 그의 시가 좋았던 이유를 나는 나의 외로움, 너덜너덜한 청춘 때문이라고 생각했었다. 그게 아니라 그는 이미 훌륭한 시인이었다는 것을 아주 뒤늦게 알게 되다니.

그리하여 하여간, 동시대의 우리들은 함께 최승자를 걱정한다. 힘을 내 더 좋은 시를 쓰시라,가 아니라 건강하시라고. 얼굴 한 번 본 적 없는 신형철과 함께

 

자신감을 잃고 주눅들 때마다 나는 최면을 걸 듯이 속으로 말해왔다 시는 나를 사랑한다. 시가 나를 사랑한다.’

 

우리는 어떤 일을 겪으면서, 알던 시도 다시 겪는다.

 

나에게 가장 중요한 사람이 죽을 때 나 중에 가장 중요한 나도 죽는다. 너의 장례식은 언제나 나의 장례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