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춥고 더운 우리 집
공선옥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5월
평점 :
집 꿈을 자주 꾼다. 아무 쓸모도 없는 건축학 에세이에 폭 빠져 산 적도 있다. 이유가 무얼까 궁금했다. 어렸을 때 이사를 자주 다녀서 그랬나, 하는 생각을 잠시 해보면서. 혹은 잠시나마 건축과를 가고 싶었던 학창 시절의 꿈 때문인가 싶어 하면서. 심리학을 공부하면서 집은 의식의 세계를 상징한다는 지점에서 무릎을 쳤다. 꿈속의 집의 크기와 상태가 나의 의식의 세게를 뜻한다니, 왜 그리 늘 새집으로 이사를 가고 싶어하는지, 왜 꿈속 집에는 잠기지 않은, 혹은 잠기지 않았을까 걱정이 되는 문이 그토록 많은 건지, 그 집의 수많은 방들의 정체와 아래로 내려가는 계단 역시 너무 많은 나의 관심사, 불안을 저장한 무의식의 세계로 해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아니, 이건 과학적 사실이라기보다 심리학자들의 해석이니까 그리 해석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가 맞는 표현이리라.
요즘은 가스통 바슐라르의 <공간의 시학>을 아껴 읽고 있다. 시집을 읽는 기분으로 이해를 접고 감성만으로 읽어도 너무 좋다. 집, 혹은 집과 비슷한 공간에 대한 시적 상념에는 사람들의 공통된 부분이 있나 보다. 이정록 시인의 <벌레의 집은 아늑하다>를 읽을 때 느꼈던 공감 비슷한. 그런데 최근에 강맑실과 공선옥에게서 비슷한 감성을 만난다. 내가 이 ‘집들의 이야기’에 끌린 것처럼 그들도 자기 집 이야기를 쓰고 싶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집은 추억과 감성과 감각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지금 나의 의식 세계를 구축하는 상징이자 근원이기도 한 것이다.
나는 공선옥의 소설을 좋아한다. 그 조촐함이 좋다. 화려한 말빨(글빨)과 과장된 스토리가 없어도 슬픔과 더불어 삶이 있어서 좋다. 물론 현실에는 소설이나 영화보다 더 극적이고 끔찍하고 더 아름다운 이야기도 많지만 대개의 삶이란 적당히 구질구질하면서도 적당히 인간성을 버리지 않은 소소하고 다사로운 것, 혹은 고달픈 것 아닌가. 공선옥은 그런 글들을 쓴다. 당연히, 좋아하는 작가의 사적인 삶은 궁금할 수밖에. 그가 들려주는 자기 집 이야기는 그런 방식의 듣고 싶은 이야기이리라. 만약 또 다른 공00 소설가나 요즘 거의 연예인급으로 잘나가 김00 소설가가 자기 어린시절 이야기나 집 이야기를 썼다 하면 호기심이 가면서도 읽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화려한 언변에 적절히 겸손한 척하면서 자기 자랑을 늘어놓을 걸 아니까. 매력적이라 미운데도 묘하게 끌리던 학창 시절 잘나가는 예쁜 애를 보는 것 같은 불편함과 시기심. 하지만 공선옥은 친구로 치자면 생전 자기를 내세우지 않아 그의 존재를 염두에 두지 않았던, 하지만 대화를 나눠 보니 단 몇 마디만으로도 그의 지성과 인품의 깊이로 나를 감복시키는 그런 친구 같다. 그에 대해 더 알고 싶지만 말을 걸어봐야 자기 이야기를 수다스럽게 늘어놓을 리 없는 그런 친구의 글이 교지에 실렸다면 설레는 마음으로 맨 처음 펼쳐 읽어볼 것이다. 그리고 또 역시 내 직관은 정확하구나, 나는 사람을 알아본 것이야, 라며 흐믓해했을 것이다. 이 책도 그랬다. 삶의 궤적이 나와 일치하지 않지만 나는 그의 삶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그가 아무리 고생의 젊은 날을 지나왔더라도 삭신이 쑤시기 시작하는 늙기 시작하는 시점의 집들은 제발 따스하고 편안하기를 진심으로 바라본다. 집이 너무 좋아서 밖에 나가기 싫더라도 할머니(그나 나나 곧 할머니가 될 터이니)들이 평안한 세상이 오면 얼마나 좋을까, 기원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