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기의 최전선 - ‘왜’라고 묻고 ‘느낌’이 쓰게 하라
은유 지음 / 메멘토 / 201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공교육 교사이지 전문적인 작가는 아니지만 어쩌다 보니 책을 몇 권 내고 여기저기 글을 쓰는 사람이 되었다. 정체성의 뿌리가 ‘학교’이고 글을 쓰는 목적도 학교 이야기를 세상에 대고 해야 했기에 시작된 일이라서 작가로서의 비장한 책임감 같은 것은 별로 없다. 하지만 글이란 게 엄청난 무게를 지닌 것이라 글 한 편을 쓸 때마다 이루 말할 수 없는 ‘생각의 짐’을 짊어지게 된다. 이게 세상에 나올 만한 가치가 있을 건지, 이런 목소리를 낸 후 사람들에게 미칠 영향은 어느 정도일지, 책임질 수 있는지... 세상에 나온 수많은 책 모양을 한 쓰레기들에 내 책을 보태려고 글을 쓰는 게 아니라면 좀 더 많은 공부와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나는 글의 내용이나 그들의 철학과 관계없이 은유, 정희진, 리베카 솔닛을 글선생으로 삼는다. 그들은 글을 세상과 맞서는 무기로 삼는다, 멋으로 글을 쓰지 않는다, 글을 뛰어나게 잘 쓴다는 공통점이 있다. 글선생으로 삼았다고 해서 나 역시 그처럼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거나 그렇게 되려고 노력한다는 뜻은 아니다. 그래도 글을 쓸 때마다 저 이들을 생각하며 내 그릇만큼의 글을 쓰되 적어도 부끄러운 글을 쓰지 말자고 다짐한다.
은유의 글은 문장도 좋고 따뜻하고 다정하지만 읽을 때마다 나를 힘들게 한다. 이 사람은 글로 싸우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더 쉬운 길을 갈 수도 있었을 텐데 그렇게 살지 않는 사람이다.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임을 위한 행진곡의 가사를 읊조리며 이름은 남기지 않더라도 명예는 가슴에 품고 갈 수 있지 않을까, 혼자 생각해 본 적이 있다. 가사 속 명예는 세속의 명예를 의미할 터. 나는 명예란 자기 자신이 품는 것이라도, 널리 이름을 알리지 않더라도 그 사람 옆에서 진정한 모습을 봐온 이들에게 남는 것이 진짜 명예라고 생각한다. 은유에게는 허명이 없다. 그가 한 일, 그가 쓰는 글의 가치에 비해 큰 이름을 얻지 못했거나 못할지라도 나는 그가 명예로운 작가라고 생각한다. 좋은 글은 사람들이 자기 발자국을 돌아보게 하는 글인데 은유는 읽는 이들을 그렇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는 ‘글을 쓴다는 것은 고통이 견딜 만한 고통이 될 때까지 붙들고 늘어지는 일’이라고 말했다. 글이 치유가 될 수 있다는 것은 혼자 쓰는 글이 스스로의 삶과 아픔을 돌아보고 쓰다듬는다는 의미도 있겠지만 아픈 이들을 찾아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글로 씀으로써 세상의 아픔을 치유하는 데 기여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은유는 글로 싸우는 이이자 글로 세상을 치유하려 애쓰는 자이다.
그는 글이 얼마나 행동과 밀접한지에 대해 ‘글을 쓰고 나면 신체가 새롭게 구성됨을 느낀다. ... 감응하면 행동하게 되고 행동하면 관계가 바뀐다.’고 했다. 보고 들은 아픔을 글로 옮기면서 행동을 했다는 것이다. 그가 만난 사람들은 세월호의 아픔을 지닌 이들, 아동학대를 당한 아이들 등 아픈 사람들이다. 은유는 인터뷰어로서 쿨하게 그들의 이야기를 채집하고 끝내지 못한다. ‘타인의 삶에 대해 구체적 감각이 생긴’단다.
은유는 또 ‘자신을 속이는 글, 본성을 억압하는 글, 약한 것을 무시하는 글, 진실한 가치를 낳지 못하는 글은 열심히 쓸수록 위험하다.’고 말한다. 모든 권력은 시간이 가면 쉰내, 썩은내를 풍기지만 글도 다를 바 없다. 그러지 않으려면 허명에 물들지 말고 아픈 이들과 함께 해야 한다.
은유는 열심히 글쓰기 강좌를 여는 이이다. 그의 목표는 ‘자기 삶을 자기 시대 안에서 읽어내고 사유하고 시도하는 ‘삶의 방편이자 기예’로서 글쓰기’를 함께 하고자 함이란다. 그런 기준을 나 스스로에게 비추어 본다. 글을 쓰는 한에는 나의 시대를 사유하는 글에서 부끄럽지는 않은지 늘 곱새기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