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균 쇠 (무선 제작) - 무기.병균.금속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개정증보판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사상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거의 다 읽어갈 무렵 의문이 생긴다. 이 책이 고등학생 및 대학생 필독도서라고? 읽기 어려운 문장은 아니지만 너무 방대하고 일반인이 읽을 필요가 없는 자료들로 가득한데? 여기에도 그 흔한 한국식 출판문화의 폐해가 작동한 건 아닌지, 하는 의심이 든다. 출판사나 소위 서울대 신입생 교양도서 목록등등이 행한 문화 권력의 어두운 그림자 말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이 좋지 않은 책이라는 건 아니다. 역사를 과학적으로(방대한 자료로써) 접근했다는 점, 이미 레비-스트로스가 구축하긴 했지만 문화나 문명의 우위라는 건 없다는 관점, 그 치밀성 덕분에 역사학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점 등 가치로운 면이 많다. 긴 시간에 걸쳐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와 함께 읽으면서 통시적으로 인류의 역사를 들여다보게 한 점에 있어서는 내 개인적으로도 매우 의미 있는 독서였고. 하지만 혹여 내 제자들 중 똘똘한 아이들에게 고등학교 가서 읽어보렴하고 권할까 해서 살펴본 것에 대해서는 아니다라는 답이다. 역사, 문화인류학 등에 관심이 있다면, 역사선생이라면, 독서광이라면 읽어볼 만하지만 굳이 학생들의 필독도서여야 할까? 저변이 넓은 책으로서라면 <사피엔스>가 그 역할에 더 충실할 것 같다.

 

<사피엔스>가 역사뿐 아니라 언어와 문화, 철학과 정치 등 넓은 영역을 다루고 있다면 <, , >는 문명사를 깊이 파고든다. 저자 스스로도 말했지만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면에서 역사는 과학적 학문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데에 대해 방대한 자료로 과학적 논증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이 책은 내내 왜 서구 유럽의 문명이 결국 지배적 문명이 되었을까?’라는 질문의 답을 찾는다. 답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유전적 우위 따위는 없다는 것, 환경적 조건이 가장 크다는 것, 그 환경적 조건의 출발은 가축화와 식물화, 즉 농경으로 정착이 가능할 수 있었는지, 그리고 그것을 기반으로 총과 금속을 개발할 수 있었는지라는 것이다. 이것에서 앞섰던 유럽은 결국 다른 지역을 점령하고 그 과정에서 병균으로 토착민들을 멸살하였다.

문명이 앞섰다는 점에서는 중국이 오히려 유럽보다 먼저인데도 유럽이 세계문명을 지배하게 된 것에 대해서는 유럽의 적절한 분열이 다양성으로, 경쟁으로 유럽 사회를 더 발달시켰다는 결론을 내린다. 여기에 내 견해를 더해 자본주의적 자유와 경쟁 문화가 더해져 유럽 문명의 우위를 결정지었을 것이다.

 

이 모든 결론을 주장으로 펼치는 것이 아니라 방대한 자료와 수치, 통계를 논거로 입증하는 게 재레미 다이아몬드의 서술 방식이다. 아마도 이와 같은 접근이 흔지 않았기에 그의 저서를 높이 평가하는 것이리라. 게다가 그는 유럽 문명이 지배적 문명이 되었다고 해서 그것이 더 훌륭한 가치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그는 학자로서 냉철함을 유지하며 글을 쓰지만 다양성이 인정된 덕분에 더 맛있어진 독일 맥주 이야기나 문명과 거리가 멀지만 생존을 위해 유럽인든보다 더 똑똑해진 그의 뉴기니 친구 이야기를 통해 전체주의적이고 지배주의적인 문명이 더 좋은 것은 아님을 말한다. 인류가 수렵채집 양식을 버리고 농경사회로 접어든 것도 결코 축복이 아님을, 자본주의적 효용성이 크다고 해서 사람들이 더 행복한 것은 아님을, 뉴기니의 문명이 유럽보다 뒤처져 보인다고 해서 그곳 사람들의 인간적 가치도 뒤처진 것은 아니라고 역설한다.

 

 

그러나 독자로서 의문을 갖고 이의를 제기하고 싶은 부분이 있다. 저자는 중국이 조선, 항해술 등 각종 기술과 문명에서 유럽보다 앞섰음에도 근대에 발전에 있어서는 뒤처진 이유를 통일이라고 보았다. 그런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중앙집권적 정부의 지시와 그에 일사불란하게 따르는 체제가 오히려 발전에 독(?)이 되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나는 그가 왜 중국은 선진화된 나라였고 거대한 국가였음에도 다른 나라를 침략하고 식민화하고 점령하는 일에 쉽게 나서지 않았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지 궁금하다. 지금의 유럽 문물은 다른 지역을 식민화해서 얻은 수많은 자원을 에너지로 해서 발달했다. 지금은 가장 인간적이고 품위 있어 보이는 지점에 도달했을지 모르지만 그 이전 역사에는 피가 묻어 있다. 하지만 중국은 유럽과 달랐다. 중국이 약소국을 괴롭히지 않았다는 게 아니라 중국에는 그런 식민지적 자양이 없다는 것을 언급하지 않고 단순히 유럽문명의 발달과 비교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