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생이 온다 - 간단함, 병맛, 솔직함으로 기업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임홍택 지음 / 웨일북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베스트셀러들에는 양면성이 있다. 그것을 대하는 사람들의 감정도 양가적이다. ‘뭔가 뛰어난 점이 있으니 베스트셀러가 되었겠지’, 하는, ‘너 인정의 평가가 하나. 또 하나는 돈으로 마케팅하고 광고했나? 품질에 못 미치는 허명 덩어리’, 하는 흥칫뿡의 마음. 후자에 해당하는 책을 워낙 많이 봐온 게 사실이다. 그래도 나는 베스트셀러를 쓱 훑어보는 편이다. 역차별 받는 보석을 놓칠까봐서.

이 책도 대통령의 언급 덕인지 무척이나 많이 팔렸나 보다. 읽기 전에는 도대체 어떻게 한 세대를 함부로 분석한다는 것인가(소위 386세대로서, 세대론, 비판론에 상처를 많이 받아봤다), 하는 마음이 들었다. 그래도 읽어는 보고 싶었다. 일단 내 아들과 딸이 92년생, 97년생이다. 저자가 제대로 보긴 했는지 확인해 보고 싶기도 했다(물론 가까이서 본 자녀의 모습과 사회생활인으로서의 모습은 다를 것이며 특히 군집으로,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그들 모습은 또 다를 것이지만 말이다).

일단, 저자가 굉장히 많은 자료를 모으고 정리한 공이 돋보인다. 책을 읽다가 다시 날개로 돌아가 저자 소개 글을 보았을 정도다. 이 사람 연구자인가? 하고 말이다. 의외로 학자도 아니고 이 분야 전문가도 아니었다. 게다가 비교적 객관적이면서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라보고 있는 그 시선도 나쁘지 않다. 이 세대 때문에 세상이 끝장날 것처럼(오히려 본인들은 이생망(이번 생은 망했다) 세대라고 자조하는 데 비해) 한심한 눈길로 보거나 미래세대라고 무작정 찬양한다거나 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미처 생각하지 못한 90년대 생들의 특성을 언급하는데, 특히 눈에 띄는 것이 정직성이다.

솔직히 조금 놀라웠다. 교단에서 90년대 생 남자아이들을 가르쳤고 아들딸을 키웠지만 이들이 이전 세대나 이후 세대보다 더 정직하다고 생각해본 적은 없었다. 나의 동의를 구하고자 한다면 나는, 요즘 젊은이들은 대체로 개인의 이익과 자본주의적 잣대에서 부정직하고 불공평한 것을 못 참는 것 같다, 고 인정은 하겠다. 그런 측면에서 이들 중 꽤 많은 젊은이들이 소위 조국 사태에 대해 분노하는 것도 이해가 된다. 왜 거악은 그냥 두면서 그보다 작은 일에만 분노하느냐고 묻는다면, 이 책에서 예로 제시한 부도덕한 기업이나 상품에 대한 조용한 그들의 거부와 연관 지어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다. 이것은 나쁜 현상인가?

거시적 담론에 약한 90년생들은 80년대에 민주화의 물결과 함께 청춘을 보내온 5,60대들이 볼 때 이해가 안 될 수 있다. 김수영의 시를 조금 비틀어 늬들은 왜 작은 일에만 분노하는가’, 라고 묻고 싶어질 수 있다. 그렇다면 거꾸로 기성세대들이여, 그대들은 세상을 바꾼 역사의식을 지닌 것처럼 잘난 척하지만 정작 자기 자신의 안위, 자식의 행복을 위해 입으로는 민주화를 외치면서 사교육시장을 키우고 부동산과 주식 투자에 혈안이 되어 지내느라 대한민국의 교육의 공정성을 내팽개치고 경제적 격차를 키우지는 않았는지 돌아보라, 우리는 거대한 역사의식은 없지만 생활 속의 부당함을 하나, 하나, 작은 목소리라도 내어 고쳐나가고 싶다, 적어도 불공정, 부정의에 대해 거부라고 하련다, 라고 그들이 말하면 우리는 무어라 답할 것인가?

 

나는 침대 머리맡에 7~8종의 책을 쌓아놓고 읽는다. 이 책처럼 지하철을 타면서 빨리 보는 책이 절반, 몇 달을 묵히면서 천천히 공부하듯 읽는 책이 절반이다. 빨리 읽을 수 있다고 책의 무게가 가벼운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좋은 책은 논쟁거리를 많이 던져주는 책, 생각할 것이 많은 책, 특히 어쨌거나 나를 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그렇다면 이 책도 그 반열에 들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