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시멜로 이야기 ㅣ 마시멜로 이야기 1
호아킴 데 포사다 외 지음, 정지영 외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반 한 '문학소년'이 이 책을 몇일 가지고 다니길래 빌렸다. 이슈가 되어 얻은 오명에도 불구하고 그후로도 오랫동안 베스트 셀러인 것과 서평이 괜찮았던 것을 기억하며, 어쨌든 책이거나 사람이거나 몇몇 '소리'들로 전부인 양 평가해선 안되리라는 생각에 읽어 보려고..
한 시간 남짓에 걸쳐 읽었고 재미있었다. 이런 책 읽으면 세상이 다 긍정적으로 보이고 괜히 기분이 좋아지는 그런 게 있지 않은가. 예고된 해피 엔딩. 운전수 찰리의 눈부신 깨달음과 비약과 행복한 '서프라이즈..'를 미리 온몸으로 예감하며 덩달아 기분 좋아지고, 내 아들이나 우리 반 아이들이 이 책을 읽는다면 찰리처럼 그렇게 같이 '깨닫고' '실천하고' ' 행운을 만날' 것만 같은 기분좋은...
그러나,
결국은, 너의 지금을 참고 노력하여 '대학'에 가고, '비지니스'에 성공하라는 이야기 아닌가 싶다. 대학이 아니라도 자기 사업의 성공이 아니라도 무수한 성공과 성취를 준비할 '마음가짐'을 가르쳐 주려는 것이겠지만 결국 이 책은 참으로 자본주의의 미덕을 예쁘고 달콤하고 착하게 잘 포장한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왜 대학이어야 하는가, 왜 사업에 성공해야 하는가. 조나단은 과연 마시멜로의 유혹을 참았기 때문에 그토록 성공했던 것일까. 조나단을 자본주의의 가장 아름다운 화신으로 만들어 놓았다고 작가에게 눈을 흘긴다면 많은 '마시멜로' 팬들이 분노하려나. 찰리가 '고작' 운전기사밖에 못 된 것이 과연 고등학교 시절 멋진 컨버터블 차를 끌고 여학생들과 놀러다녀서이기만 한 건지, 이 땅의 찰리들은 억울하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