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엘리베이터를 탔다. 초등학생 몇 명도 같이 탔다. 5학년 정도 돼 보이는 남자 아이가 엘리베이터 닫힘 버튼을 꾹 누른다.
-닫힘 버튼 안 눌러도 되는데.
-그런데요
-아니 그렇다고.
-그래서 어쩌라구요.
헐~ 이놈의 오지랖은 왜 갑자기 튀어나와서 참견을 했을까. 아마도 그런 말을 건네면 상대방이 살짝 웃거나 수줍어할거라고 생각했겠지. 어른에게라면 차마 말 건넬 엄두도 못냈을텐데. 그런데 이 녀석은 왜 이렇게 날이 섰을까. 엘리베이터에 얽힌 안 좋은 추억이 있는걸까. 아니면 어른들 머릿속에서 나오는 질문이야 나이와 이름을 묻는 것 뿐인데 그런 과정을 생략하고 대뜸 참견을 하니 별꼴이야 싶었을까. 엘리베이터 타는 게 아니었어, 참견하는 게 아니었어, 다짜고짜 반말하는 것도 별로였어. (징징징)
뾰로롱~ (그 다음 반전 혹은 웃긴 말이 생각나지 않는다.)
* 최근에 새로 오신 과장님은 칭찬을 자주 한다. 화이트보드에 내가 쓴 월중 행사표 글씨가 당신 맘에 쏙 든다고, 보도문 조금 손 봤을 뿐인데 문장력이 대단하다고(정말 처음 듣는 소리다, 이상하게 꼬인 문체란 소린 종종 들어봤지만), 겨울 내내 입은 칙칙한 옷 대신 색깔 있는 옷을 입어 아치 때문에 봄 분위기 난다고, 잔소리 들으며 차 심부름하기 싫어서 누군가 오면 반사적으로 커피를 타다 바치니 눈치 있다고. 과잉이긴 했지만 나쁘지 않았다. 처음엔 어색했지만 자꾸 듣다보니 기분도 좋아졌다. 이쯤에서 칭찬을 할텐데라고 기대하는 일도 종종 생겼다.
과장님의 화끈한 면모만큼이나 누군가를 알아보고 칭찬하는 것도 괜찮다는 생각을 할 즈음이었다. 과장님 책상에서 뭔가를 찾고 있는데 모니터 옆에 무슨 글귀 같은게 보였다. 뭘까, 과장님은 무슨 글을 읽으며 하루를 시작할까.
글을 읽고 나서 얼굴이 벌개지고 말았다. 왜냐하면 그 글엔 다음과 같은 말이 써있었기 때문이었다.
>> 접힌 부분 펼치기 >>
‘빈말로라도 칭찬하자’
A4 한 페이지의 글에선 스카프만 칭찬할게 아니라 스카프와 립스틱 색깔이 잘 어울리는걸 칭찬하라는 둥, 넥타이와 오늘 사무실 분위기를 연관시켜 칭찬하라는 둥의 글귀가 적혀 있었다. 헐~ |
<< 펼친 부분 접기 <<
* 다른 과의 인상 좋은 C가 사무실 B에게 준 매실차는 ‘같이’ 먹으라고 준거였다. 그래서 열심히 같이 먹었다. B는 내가 탕비실을 드나들 때마다 매실차를 먹나 안 먹나 (아, 쓰면서도 추접스러워서 원) 유심히 지켜봤나보다. 그러더니 사내 메신저로 매실차를 준 분께 냉큼
- 아치가 내꺼 매실차 다 먹어.
이러더란다. C는 B가 꼭 고자질하는 6살짜리 꼬마 같았다고 했다. (참고로 B의 나이는 50이 넘었고, 손주까지 있다.) 아마 B는 이 사실을 내가 알고 있다는걸 안다면 꽤 무안하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