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언제 죽을 지 모른다. 코에 바람이 막히면 그만이다.


그러나 모든 중생들은 육신으로 자기를 삼고 탐,진,치 삼독심으로


의,식,주 三件事와 五欲樂의 생활환경에 속아서 귀중한 평생을


헛되이 살다가 허망하게 죽는 것이 인간의 모습이다.


하찮은 미물이라도 몸뚱이 아낄 줄은 알아서 지렁이조차 밟으면


꿈틀된다고 하지 않나. 이렇게 육체 본위로 살면 자나깨나 꿈이요,


동물식의 생활이 된다. 그래서 자살, 살인, 강도 등 큰 죄악은


자아상실 때문에 일어난다.


그러나 참나를 찾으면 깨닫게 된다.


마음을 찾는 1700개의 공안중에 가장 쉬운 것이 ‘이 뭐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건강하게 살려면, 불치병을 이기려면 즐거운 생활을 하라.
그러나 즐거운 생활은 생각처럼 쉽지가 않다. 또한 사람들
에게 받는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해 산속으로 가도 마음은
여전히 도심의 한가운데 있는 것 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즐거운 생활은 전제조건이 하나 있는데 나도 즐겁고 남도
즐거워야 한다.

열심히 일하라. 자신이 아프다는 사실을 잊을 정도로 일하다
보면 가슴속에 욕심이, 교만이 들어앉을 사이가 없게 된다.

고승들은 고행을 통하여 즐거운 생활에 들어간다.
열심히 일하는 노동삼매에 들어갈 때 마음이 비워진다.

세상을 제대로 사는 지혜를 터득하면 더 이상 죽음이 두렵지
않고, 죽음이 두렵지 않으면 죽음이 찾아오지 않는 법이다.

2. 스트레스를 원천봉쇄하여 면역력을 증강시켜라.
살다보면 나의 마음과 남의 마음이 반듯이 부딪치게 되며 이때
스트레스가 생기게 마련이다. 이것을 피해 산속으로 가면 스트
레스가 없어질 듯 싶지만 내 마음은 쉬지 못하고 세상일을 향
해 달려가고 있을 것이다.

결국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은 자기를 낮추고 남의 마음을 올
려다보면 된다. 자신이 남보다 잘낫다는 건방진 마음을 버리고 겸손하게 살면 스트레스를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의 해소책은 몽롱한 정신상태가 아니라, 고도의
정신집중이다. 걷기를 통한 수식행선은 가장 좋은 방법이다.

교만은 사람이 만들어내는 가장 큰 독소다.
아무리 좋은 공기와 물과 음식을 먹어도 교만한 마음을 가진
사람은 매연을 내는 굴뚝에 코를 들이대고 사는 것이다.

3. 맑은 공기, 깨끗한 물을 마신다.
커피, 콜라, 햄버거를 먹지 않는다.

4. 유기농 자연식을 한다.

5. 하루 두시간 이상 햇볕속을 천천히 걸어라.
현대인이 섭취한 음식물이 대사작용을 하고 남은 것이 체내에
남아 온갖 성인병을 유발한다. 이 찌꺼기를 없애야 몸의 기운이
제대로 순환되는 바, 최소한 하루 2시간 이상 걸어야 하는 이유
다. 이것이 한달, 두달 지나다보면 건강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
게 되고 병과 죽음의 공포를 없애 주는 키워드가 된다.

출장식 수식관 행선
내쉬는 숨은 길게, 마시는 숨은 짧게
처음에는 네 걸음을 내쉬고, 두 걸음을 마시고 손가락으로 셈을
하며 걷는다.
걷다보면 온갖 잡념 즉 스트레스, 공포, 망상이 생겨나게 되는데 이를 없애주고 집중력이 생긴다.
그러나 현기증이 나거나 기운이 빠지면 무리하게 걸은 셈이므로 조절이 필요하다.
걸음걸이는 자신이 숨쉬는데 가장 편한 게 적당하다.

6. 동의보감에 ‘通則不痛 不痛則痛’ 라 했다.
‘기가 통해 혈액순환이 좋아지면 아프지 않고, 기가 통하지
않으면 혈액순환이 좋지 않아 아프다’ 는 이치.
몸의 기운이 막히면 피로를 느끼고, 마음의 기운이 막히면
짜증이 난다.

7. 사람이 건강을 유지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몸의 기운이 제대로
순환되어 장기들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운 순환에
장애가 생겨 장기들이 제 역할을 못하면 체내에 불순물이 누적
되고 여기서 발생하는 독소가 인체의 여기저기를 공격하여
문제를 일으킨다. 체내 독소를 효과적으로 배설하는 것이 관건
인데 현대의학처럼 대증요법에만 치중하면 일시적으로는 호전
되는 듯 하지만 잠복하여 악화의 길로 가는 것인 바, 몸의 기운
순환을 물리적으로라도 시켜야한다.

누워있어서는 기운순환이 안된다. 몸을 움직여야 한다. 건강
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는 걷는 방법밖에는 없다.

걸으면 왜 기운순환이 되는 것일까?
일반적으로 기운순환이 안되는 이유는 하체로 기가 내려 보내
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체에 있는 陰기운은 위로 올라가고,
상체에 있는 陽기운이 아래로 내려가 순환이 자연스럽게 이루
어져야 건강한 상태가 된다.

천천히 걷는다는 것은 다리 부분에 열을 가해 하반신을 따뜻하
게 하고 상대적으로 머리를 차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빨리
걷거나 뛰면 열이 위로 올라가고 머리가 다시 더워진다.
천천히 걸어야만 온탕반욕처럼 하반신에 열이 가해지고 머리는
차가워져 맑게 된다.

온탕반욕-잠자기 전 한 시간 가량 수식행선 후 약 10분간
4초간 내쉬고 2초간 마시는 편안한 숨쉬기가 좋다.

8. 많이 먹고 움직이지 않으면 체내에 수분이 쌓이고 수분은 몸을
차게 만든다. 기운순환의 이상은 몸이 차가워질 때 일어난다.

9. 잠잘 때는 우측으로 누워라.
석가는 아함경에서 오른쪽으로 누워 자라고 했다. 열반도의
모습도 같다. 공자도 죽은 사람처럼 반듯이 누워 자지 말라
했고, 동의보감에서도 누워서 잘 때 몸을 옆으로 하고 무릎을
구부리는 것이 사람의 심기를 좋게 해 준다 했다.
왼쪽보다는 오른쪽을 누었을 때 폐로 들어가는 공기량과
혈액량이 더 많다

10. 암이 사람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암에 대한 공포가 사람을 죽
인다. 그러나 암세포는 행복과 상극이다. 즐거운 생활을 하면
암세포는 그 사람을 떠난다.

11. 자기 일에 바쁜 사람은 남의 일에 관심이 없는 법이다.
세상일에 관심이 많은 사람은 그만큼 자기 일을 열심히 하지
않는 사람이다.
불행은 자기 일을 하지 않으면서 남의 일에만 관심을 둘 때
시작되는 법이다.
대선사는 피나는 고행으로, 바흐는 엄청난 노동으로, 공통점은
엄청난 육체적 노동자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04-10-19 1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얍삽하고, 쌈빡한 왠만한 웰빙에 관한 서적보다 이런 책이 참 맘에 드네요. 저도 기회가 되면 읽어보고 싶습니다.^^

니르바나 2004-10-19 1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건강서적은 잘 읽어야 본전이지요.
그래서 비법보다는 근본을 살피라는 책들에서 건강의 지혜를 얻게 됩니다.

혜덕화 2004-10-21 16: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복사해서 인쇄해야겠어요. 책을 잘 안읽는 남편에게 읽어보라고 줘야겠군요.
고맙습니다.
 

허공,
유와 무를 초월한 자리.

허공을 알기 전에는 마음을 모른다.
또 허공을 알려면 마음을 파악해야 한다.
허공과 마음은 한가지이기 때문이다.

층암절벽에서 내려다보면 아득한게 느껴진다.
허공은 얼마나 어마어마하겠는가.
지구가 허공중에 둥둥 떠있다는 사실을 공부하라.

매일 땅에 붙어 있어 허공을 못느끼고 있음을 바라보고
허공을 공부하라.
내가 누리의 주인공인 것을 깨달을 것이다.

뼈에다 살을 바른 육신만이 나라고 하기 때문에
누리의 주인공이 못되는 것이다.

이 텅 빈 주인공 자리에서 그림자인 육신이 나고,
물불이 나고, 삼라만상이 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누리의 주인공은 나지도 않고 죽지도 않으며
젖지도 않고 타지도 않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태국 어린 동자승들이 거리로 탁발을 나선 모습입니다.


이 사진을 보고 있자니 지난 번 평안도 룡천에서 있었던


폭발사고 현장의 우리 어린이들이 커다란 상처를 입고


아파하던 모습이 떠오릅니다.

 

오늘 아침 뉴스에서도 중국에 있는 대한민국 영사관의

철망을 넘는 어린이들을 보았습니다.



인간이 만드는 전쟁과 사고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것은


아이들과 여성이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후천시대의 주인은 여성이며 아이들이 아닐까 합니다.



최근에는 부모에게 버려지는 아이들의 소식들이


너무 많이 들려 오는군요.


"어린이는 우리들의 부모님"이라는 말씀이 생각납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4-10-18 12: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한 20년 전에 이청준의 소설과 산문을 열심히 읽던 적이 있었다.

잘 안 읽히는 책을 붙잡고 애쓰다보면 감동이 벅차오르던 기억이 난다.

'당신들의 천국', '키작은 자유인', '가위 밑 그림의 음화와 양화' 등등

그의 장편과 작품집과 수필집까지 열심히 보곤 하였다.

그러고 보니 내가 이청준의 열렬한 독자가 된 것에는 사연이 있었다.

 전에 자주 가던 커피숍의 주인이 나의 책 사랑에 대한 자신의 독서를 이야기 하다가

소설가 이청준의 작품에 매료된 사실을 말한 적이 있다.

도시에서만 살아온 나는 '남도사람' 이라든가  그의 소설 '눈길' 도 마찮가지로

생소한 느낌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어서 처음에는 힘들었지만 이 에피소드후에

충실한 독자가 되었다.

그러나 나고 드는 문학세계에서 최근에는 가끔씩 그의 작품 중에 빠뜨린 것만 찾아 읽다가

아래에 소개된 수필집을 들어 읽게 되었다.

옛생각이 다시 난다.

따뜻하게 반겨주었던 그 분은 지금 무얼 할까 궁금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04-10-18 17: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특별히 니르바나님을 위해 퍼왔는데 안 가져가신 것 같아 퍼다드립니다. 즐감하시길...^^


니르바나 2004-10-19 01: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스텔라님
지가 쪼매 바빠서 주시는 것도 못 받아먹고 이래 입 안에 떠 넣어주시니
몸둘바를 모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스텔라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