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실제로 행할 때 존재한다. 사랑은 사랑하려는 의지가 발현될 때 존재할 수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사랑은 의도와 행동을 모두 필요로 한다. 여기서 의지를 갖는다는 것은 선택한다는 뜻이다. 아무나 다 사랑을 하는 것은 아니다. 사랑하려는 ‘의지’를 갖고서 사랑을 ‘선택’하는 사람만이 사랑을 할 수 있다." 사랑이란 자신과 다른 사람의 영적인 성장을 위해서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라는 스캇 펙의 정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본능적으로 사랑을 하게 되어 있다는 널리 퍼져 있는 생각과는 정면으로 배치된다.(35)
외로움은 고통스럽지만 고독은 평화롭다. 외로움은 다른 사람에게 필사적으로 매달리게 하지만 고독은 다른 사람들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고, 그들과 더불어 공동체를 만들 수 있게 해준다. 아이들에게 혼자만의 생각과 공상에 잠길 수 있게 조용한 시간과 공간을 허용하면, 성인이 되어서도 고독을 즐길 줄 알게 된다.(183)
사람들은 대개 사랑이란 상대의 현재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잠재력과 가능성까지 보려고는 하지 않는다. 물론 사랑한다는 이유로 상대를 자신이 원하는 이상적인 모습대로 탈바꿈시키려고 해서도 안 될뿐더러 그렇게 될 수도 없다. 상대의 의지와 상관없이 변화를 강요해서는 안 된다. 반면 진정한 사랑을 하게 되면 자기 스스로 변화하려고 노력할 뿐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의 영향으로 보다 완전한 자신으로 거듭 태어나려는 의지를 불태우게 된다. 그리고 그 과정은 서로의 동의 아래 이루어진다. 진정한 사랑을 하고 있는 커플들과 오랫동안 대화를 해보고 내린 결론은, 진정한 사랑의 가장 공통된 특징은 `무조건적`이라는 점이다. 진정한 사랑을 하는 사람들은 상대에 대해 어떤 조건도 내걸지 않는다. 서로가 상대를 통해 자신을 변화시키려고 건설적으로 투쟁하고 노력하는 가운데 진정한 사랑이 꽃피는 것이다. 진정한 사랑을 하게 되면 자신의 행동을 성찰하면서 그 결과를 상대와 함께 나누고 자신의 행동을 개선시켜나가려는 의지가 생긴다.(234)
충만하고 깊은 사랑을 하기 위해서는 이 정도 위험은 감수하겠다는 의지가 있어야 한다. 그래야 자기 자신을 완전히 변화시킬 수 있다. 다시 머튼의 말을 들어보자. "사랑은 파트너를 향한 당신의 생각과 행동에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사랑은 당신의 삶 전체를 변모시킨다. 이런 의미에서 진정한 사랑은 `개인의 혁명`과 같다. 사랑은 당신의 생각과 욕망, 행동을 모두 하나의 경험 속에 녹여내면서 `과거의 당신`을 버리고 완전히 `새로운 당신`으로 탈바꿈시키기 때문이다."(237-238)
|